이 마음 밖에서 부처 찾을 수 없으니
일체 형상과 모습은 다 헛된 것이다
前佛後佛 只傳此心 除此心外
전불후불 지차전심 제차심외
無佛可得 顚倒衆生 不知自心是佛
무불가득 전도중생 부지자심시불
向外馳求 終日忙忙 念佛禮佛
향외치구 종일망망 염불예불
佛在何處 不應作如是等見
불재하처 불응작여시등견
但識自心 心外更無別佛
단식자심 심외경무별불
經云凡所有相 皆是虛妄
경운범소유상 개시허망
又云所在之處 卽爲有佛
우운소재지처 즉위유불
自心是佛 不應將佛禮佛
자심시불 불응장불예불
앞의 부처님이나 뒤의 부처님들이 단지 이 마음을 전했을 뿐이니, 이 마음 밖에서 부처는 찾을 수 없다. 잘못된 중생이 자기 마음이 부처인줄 알지 못하고 하루 종일 바쁘게 염불, 예불을 하면서 밖을 향해 부처를 찾지만 그 부처는 어디에 있다는 것인가.
이러한 견해를 가지지 말라.
단지 자기 마음을 알면 마음 밖에 딴 부처는 없다.
경에 말하기를 ‘모든 형상 있는 것은 다 허망하다’하고, 또 ‘가는 곳마다 부처가 있다’하였다.
자기 마음이 바로 부처이니 부처를 지니고 부처에게 절하지 말라.
但是有佛及菩薩相貌
단시유불급보살상모
忽爾現前 切不用禮敬
홀이현전 절불용예경
我心空寂 本無如是相貌
아심공적 본무여시상모
若取相 卽是魔攝 盡落邪道
약취상 즉시마섭 진락사도
若知幻從心起 卽不用禮
약지환종심기 즉불용례
禮者不知 知者不禮 禮被魔攝
예자부지 지자불례 예피마섭
恐學人 不知故 作如是辨
공학인 부지고 작여시변
諸佛如來本相 體上
제불여래본상 체상
都無如是相貌 切須在意
도무여시상모 절수재의
但有異境界 切不用採括
단유이경계 절불용채괄
亦莫生 怖 不要疑惑
역막생파포 불요의혹
我心本來淸淨
아심본래청정
何處 有如許相貌
하처 유여허상모
만일 부처와 보살의 모습이 홀연히 나타나거든 절대로 예경하지 말라.
나의 마음은 공적(空寂)하니 본래 이런 형상은 없는 것이며, 만약 그런 형상을 취하면 곧 마귀에 포섭되어 모두가 삿된 도에 떨어진다.
만일 환상(幻相)이 마음을 따라 일어난 줄을 알면 예경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절하는 이는 알지 못해서이고, 아는 이는 절하지 않는다.
예경하면 곧 마귀에 포섭되는 것이니 행여나 학인(學人)이 알지 못할까 걱정되어 밝혀놓는다.
모든 부처님의 근본 성품 바탕 위에는 도무지 이런 모습이 없으니 꼭 명심하여라.
만일 이상한 경계가 나타나거든 결단코 캐려고 하지도 말고 두려워하지도 말고 의혹심도 내지 말라.
내 마음이 본래 청정한데 어디에 이런 모습이 있겠는가.
乃至天龍夜叉鬼神 帝釋梵王等相
내지천룡야차귀신 제석범왕등상
亦不用心生敬重 亦莫▲懼
역불용심생경중 역막파구
我心本來空寂 一切相貌 皆是妄相
아심본래공적 일체상모 개시망상
但莫取相 若起佛見
단막취상 약기불견
法見及佛菩薩等相貌而生敬重
법견급불보살등상모이생경중
自墮衆生位中 若欲眞會
자타중생위중 약욕진회
但莫取一切相 卽得更無別語
단막취일체상 즉득갱무별어
나아가 천룡·야차·귀신·제석·범왕 등에도 존경하는 마음을 내지 말고 두려워하지 말라.
내 마음이 본래 공적(空寂)하여 일체의 형상이나 모습은 다 헛된 것이니 형상을 취하지 말라.
만일 부처라는 견해나 법이라는 견해를 일으키거나 불·보살 등의 형상에 존경심을 낸다면 스스로가 중생으로 떨어진다.
만일 바르게 알려고 한다면 온갖 형상에 집착하지 않으면 된다.
다시 다른 말이 없다.
'달마어록(達磨語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마 혈맥론(血脈論). 10 (0) | 2008.03.26 |
---|---|
달마 혈맥론(血脈論). 9 (0) | 2008.03.26 |
달마 혈맥론(血脈論). 7 (0) | 2008.03.24 |
달마 혈맥론(血脈論). 6 (0) | 2008.03.24 |
달마 혈맥론(血脈論). 5 (0) | 2008.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