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스님

[청화스님] 바로 알고 보십시요

通達無我法者 2007. 11. 23. 18:38

바로 알고 보십시요

인연 따라 잠시 만나서

제가 법회를 하면 거사님들이나 젊은 불자님들은 별로 없고 보살님들이 삼분의 이쯤 되십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젊은 불자님들을 위해서 한 마디 해 보겠습니다.
부처님 가르침은 깊고도 오묘해서 한 마디로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다 아시는 바와 같이 소승과 대승이 있고 또 우리 중생들이 보는 차원의 현교(顯敎)도 있고, 우리 중생이 볼 수 없는 차원의 밀교(密敎)도 있습니다. 이러한 소·대승의 관계와 현·밀교의 관계를 바로 알고자 하면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러나 우리 젊은 불자님들은 기초 교육이 튼튼한 분들이기 때문에 앞으로 정진을 하신다면 잘 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우리 불교를 마음 심(心)자 마루 종(宗)자를 써서 삼종이라 합니다. 물질도 있고, 눈에 보이는 모든 현상적인 사물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불교는 어째서 마음뿐이라고 하는가?
왜 마음의 종교라고 하는가? 이런 중요한 문제를 우리 젊은 불자님들은 꼭 푸셔야 합니다. 모든 물질과 사물들이 엄연히 현존해 있는데도 왜 심종이라고 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견해를 가지셔야 합니다. 그래야 이른바 반야의 지혜가 나옵니다.
사실상 마음뿐이기 때문에 심종이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사상에서 볼 때, 절대물질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간성도, 공간성도 존재할 수 없는 것입니다. 물질이 분명히 내 눈앞에 있고, 물질이 있다고 생각할 때는 공간성이 있으므로 존재가 있고, 또 시간도 있은 터인데 왜 그런가?
그 해답은 모든 존재가 인연 따라서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잠시간 이루어졌기 때문에 시간성과 공간성이 없다는 것입니다. 시간성과 공간성이 없기 때문에 물질이 없습니다. 인연 따라 잠시간 이루어졌다는 말은 모두가 조건부라서 인연을 떠나서는 어느것도 존재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불교의 기초를 다 아시는 분들에게는 새삼스럽게 말씀드릴 필요가 없겠습니다만, 우선 '자기'라고 하는 존재를 본다 하더라도 오온(五蘊)의 가화합(假和合)입니다.
오온은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 아닙니까? 오온이 잠시 동안 가짜로 화합되었단 말입니다. 색은 물질이므로 산소, 수소, 질소 등, 각각의 원소들이 결합된 것에 불과하며, 수(受)와 상(想)과 행(行)과 식(識)은 우리의 관념 활동입니다.
내 몸뚱이를 비롯한 일체 물질과, 우리가 느끼고, 의혹하고, 분별 시비하는 정신활동과 같은 것들은 본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본래 있다고 한다면, 『반야심경』에서 말하는 오온개공(五蘊皆空)이라는 말이 거짓말이 되겠지요. 분석한 뒤에 공(空)인 것이 아니라, 내 몸 구성이 바로 공입니다. 어떤 사람들은『반야심경』의 색이 곧 공이라고 할 때에, 색이라는 것, 즉 물질은 분석하면 끝에 가서는 에너지가 되는 것이므로 공 아닌가? 하는 식으로 분석적인 입장에서 생각합니다만, 『반야심경』의 '즉공(卽空)'은 그러한 것이 아닙니다.
'즉공'은 색 그대로 공, 다시 말해서 물질 그대로 공이라는 것입니다. 내 몸뚱이가 이대로 공입니다.
다이아몬드도 그대로 공입니다. 그것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인연생(因緣生)이기 때문입니다. 다이아몬드라 하더라도 결국 탄소의 결정체일 뿐입니다. 아무리 아끼고 귀하게 여기는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결국 원자핵과 그 주위를 회전하고 있는 전자가 몇 개가 있는가, 양성자, 중성자, 전자 등의 소립자들은 떠나서 다른 것은 없습니다.

저는 법문을 할 때마다 서투른 물리학 풀이를 합니다. 왜 그런고 하면 불교에서 말하는 공의 의미를 아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공만 알아 버리면 사실 불교는 참답게 대승으로 입문되는 것입니다. 공을 모르면 대승이 못 되는 것입니다. 반야지혜가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서 대승이 되고 못되고 하는 것입니다. 반야지혜가 있어야 대승이 됩니다. 대승이 되어야 참다운 생사해탈을 할 수 있는 부처님 법문입니다. 즉 방편설을 떠난 진실한 법문이 됩니다. 따라서 어렵더라도 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라도 이것저것 모두를 유추해서 인용하고 원용해 가지고 공도리(空道理)를 알아야 합니다.

저같은 사람도 토굴생활을 무던히 했습니다. 한번은 백장암 저 위쪽 1000미터 이상 되는 고지에다 조그마한 토굴을 마련해서 한철을 지냈습니다. 삼동이 임박해서야 아무런 준비도 없이 겨우 들어갔습니다. 방이라야 사방 일곱 자 정도의 협소한 공간인데도 추운 겨울에 따뜻하게 하려면 장작이 하루에 여남은 개비는 들어가야 합니다. 그런데 나무 준비를 충분히 안 했습니다. 그래서 장작을 절약하기 위해 하루에 세 개비씩 땠습니다.
마음을 못 통하면 방에서 죽을 각오로, 나오지 않으려고 지붕도 천년만년 간다는 참나무 굴피로 이었습니다. 그런데 마침 그 해 비가 억수로 쏟아져 그 사이로 빗물이 새들어와도 우산이 없어서 막을 길이 없었습니다. 방바닥에 물이 흥건해져서 할 수 없이 나무토막을 놓고 그 위에 앉아서 빗물을 퍼내면서 지냈습니다. 생식을 하므로 따뜻한 물을 필요 없으나, 찬물마저 얼어붙어서 물을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얼음을 깨서 양푼에다 넣고 불을 때서 녹은 물을 좀 마셨습니다. 생식도 콩가루나 깻가루를 섞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쌀만 불려서 그냥 먹었습니다. 찬 물에다 쌀만 불려 그냥 먹었으니 소화가 잘 될 수가 있겠습니까? 설사도 하고 여간한 고통을 겪은 게 아닙니다.
그런데도 '무아'라고 하는 소식이 마음에 와 닿지 않는단 말입니다. 그런 가운데도 미운 사람 밉고, 고운 사람은 곱단 말입니다. 나한테 좋게 한 사람은 분명히 보고도 싶고, 나한테 짓궂게 군 사람들은 또 밉단 말입니다. 내가 보란 듯이 무얼 좀 해야 하겠구나 그런 관념을 떨쳐 버릴 수가 없단 말입니다.
이것저것 다 버리고 이 목숨 다 바치겠다는 그런 각오로 들어갔지만 그런 속에서도 나라는 관념을 떨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때까지 '모두가 비었다'는 『금강경』도 수백 번 읽었고, 『반야심경』이야 중 된지 12년 되었을 때이니 몇천 번은 읽었겠지요. 그래도 제법공(諸法空)도리가 와 닿지 않더란 말입니다.

그래서 저는 우리 불자님들한테 모두가 공이다, 본래가 공이고, 마음뿐이다. 이런 말씀을 드리면서 저 양반들이 지금 알아먹을 것인가? 하는 의구심을 갖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세대는 지극히 총명한 세대입니다. 다행히 물리학적으로도 물질 자체가 종당에 가서는 에너지가 되어 버린다는 것쯤은 이미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만사가 모두 다 공이라는 즉공(卽空)을 알 듯 말 듯할 때입니다.


아함경과 반야경
부처님은 성도 후 49년 설법에서 아함경을 12년 동안 설법하셨습니다. 아함경은 부처님의 근본교리입니다. 아함경의 대요는 선도있고, 악도있고, 너도 있고 나도 있다는 것입니다. 즉 유루지(有漏智)의 차원인 우리 중생의 상식 차원에서 설하신 가르침이 많이 있습니다. 다라서 그때까지의 가르침은 이른바 유교(有敎)라 할 수 있습니다. '있다' '없다'하는 차원을 중심으로 설법하셨습니다.
그러나 부처님의 본뜻은 그것이 아닙니다. 부처님께서 보실 때는 그렇게 안 보입니다. '모두가 비었다', '모두가 다 마음 뿐 이다.' 라고 말씀하셔도 중생이 잘못 알아듣습니다. 2천5백 년 전 그때는 물리학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12년 동안이나 우리 중생들이 마음을 훈련시키신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공부를 해 보셔서 짐작이 되시겠습니다만, 가령 우리가 업장이 무거워 욕심이 많고 자기밖에 몰라도 몇 백일 동안 애쓰고 기도를 모셔 보면 차근차근 자기라는 아상(我相)이 떨어집니다.


차근 차근 자기라는 모서리가 무디어집니다. 그래서 공부가 익어지면 그때는 '나'라는 것이 몽땅 빠져버립니다. 부처님께서는 12년 동안이나 '있다' '없다'고 하는 소식을 말씀하신 후에, 이만큼 되었으면 '공(空) 도리'를 말해도 알아듣겠구나. 생각하셨습니다. 실제로 업장이 가벼워지면 알아듣습니다. 같은 법문도 업장이 무거운 때 듣는 것과 기도나 참선을 해서 업장이 가벼운 때 듣는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참선도 한 철 공부할 때, 두 철 공부할 때 다르고, 같은『반야심경』풀이도 똑같은 사람이 하더라도 듣는 수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12년 지난 다음에는 반야경의 공(空) 도리를 22년 동안이나 설하셨습니다. 이 기간 동안의 부처님 설법이 가장 고구정녕(苦口 )하게 하신 설법이십니다.

12인연법을 다 배우셨지요? 아무런 자취도 없는 과거 전생이 무명 때문에 우리 의식에는 번뇌가 쌓여 있습니다. 무명이란 사물을 바르게 못 보는 것을 말합니다. 검으면 검다고 보고, 희면 희다고 보아야 하는 것인데 그렇게 못 보는 것이 무명입니다. 오직 성자만이 무명이 없습니다. 성자는 사물을 사실 그대로 봅니다. 이른바 실상을 봅니다. 우리 중생은 가상(假相)밖에는 못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과거의 무명 때문에 행(行)이 있습니다. 우리 부모님도 무명 때문에 음욕의 행이 있었기에, 그리고 떠돌아다니는 영(靈), 즉 식(識)도 또한 무명식(無明識)이므로 부모님의 연(緣) 따라서 끌려갑니다. 그래서 어머니의 태(胎) 속에 안착하여 커 나왔습니다. 이렇게 소중한 몸뚱이입니다만, 과거 전생에는 없었습니다. 한동안 살다가 교통사고 만나서 죽든, 또는 80세에 죽든, 어떻게 죽든 결국은 죽는 것인데, 죽은 다음 이런 몸뚱이가 어디에 있겠습니까? 금생에는 몇십년 동안 모양이 이렇게 존재합니다. 그러면 모양, 그것은 실존이겠습니까? 잠시 동안 금생에 존재하는 모양일 뿐 이것도 역시 실존은 아닙니다.

우리의 관점에 중생 차원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분별을 합니다.
따라서 잘생겼다거나 못생겼다거나 분별을 합니다. 그러나 잘생긴 사람 못생긴 사람은 일초의 몇억 분의 일 동안도 같은 모습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물리학적으로 보더라도 일 초의 몇억 분의 일도, 그 한순간 한 순간이 같은 모습이 아닙니다. 젊은 사람을 10년이나 20년 있다가 만나면 제법 나이가 들어 보이지만 매일매일 만나서는 잘 모릅니다. 분명히 변화하는 데도 잘 모른단 말입니다. 일 초 전과 일초 후의 우리 몸뚱이가 같지 않습니다. 신진대사로 보더라도 일 초 전과 일 초 후의 우리 몸은 같지 않습니다. 이런 것을 자기라고 고집하는 것입니다.
일 초 전의 자기와 일 초 후의 자기, 또 일초의 몇억 분의 일 전의 자기와 그 후 자기가 같지 않은데도 우리는 같은 모습으로 존재한다고 봅니다. 부처님 가르침은 철저하게 과학적입니다. 어느 한 순간도 같은 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기에 무아입니다.
아무리 무아라고 하지만 우리는 나를 구성하는 산소가 있고 수소가 있으며, 산소나 수소를 구성하는 양자나 전자나 중성자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모든 존재하는 것들은 가장 미세한 소립자로 쪼개지고, 소립자도 종당에 가서는 마음의 파동인 염파(念波)만 존재하게 됩니다. 모든 것은 마음의 파동에 불과 합니다. 전자나 양성자나 그런 것이 모두가 다 아음의 파동에 불과한 것입니다. 따라서 우주간에 있는 어떠한 존재 물질도, 태양계나 은하계나 그러한 존재마저도 모두가 다 마음의 파동에 불과합니다.

그렇다면 마음의 파동은 왜 일어나는 것인가? 마음의 파동은 좋아하고[貪], 싫어하는[嗔] 마음에서, 무명심[痴]에서 일어납니다. 무명이란 우리가 사태를 잘못 보는 것입니다. 바로 보면 모두가 다 진여불성인데 일심인 진여일 뿐인데, 오직 비할 바 없이 깨끗한 마음뿐인데 잘못 보기 때문에 거기에서 아(我)가 생기는 것입니다. 아가 생기게 되면, 나한테 좋은면 탐심, 나한테 싫으면 진심(嗔心)이 됩니다. 따라서 좋아하고 싫어하는 그 무명심이 파동을 일으키고 , 그 파동이 전자가 되고 양성자가 되고 중성자가 되고 하는 것입니다. 그 마음이 전기가 되고 자기(磁氣)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렇게 보면 모두가 본래는 마음뿐입니다. 마음이 파동을 일으켜서 전자가 되고 무엇이 된다 하더라도 마음 자체는 조금도 변동이 없습니다, 금으로 안경테를 만드나 시계줄을 만드나 금의 순도는 조금도 변질이 없듯이 진여불성, 일심진여의 자리가 이렇게 변동하고 저렇게 변동해서 사람 같은 모양이 되나 별 같은 모양이 되나 또는 금 같은 모양이 되나, '일심진여' 라는 그 마음의 순도에는 조금도 변화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진여불성은 생사를 초월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나 조금도 변화가 없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주는 한 마디로 말씀드리면 모두가 다 어제도 오늘도 진여불성으로 충만해 있습니다.
이렇게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알아야 비로소 반야의 도리를 안다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는 것은 다 비어 있습니다.
『반야심경』 한 권만 가지고도, 『반야심경』 한 편만 가지고도 성불이 되는 것입니다. 『반야심경』에도 있지 않습니까? 우리가 생각하는 꿈같은 견해, 즉 우리는 지금 잠꼬대를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바로 못 보는 견해를 『반야심경』에서는 전도몽상(顚倒夢想)이라 한 것입니다.
따라서 전도몽상을 멀리 떠난다는 의미에서 원리전도몽상(遠籬顚倒夢想)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佛紀 2536년 8월, 금륜회관, 광주 청년불자회 초청 특별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