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름길
그렇다면 참선하는 공부 가운데서 어떻게 해야 가장 빠른 것인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기왕이면 빠른 지름길로 가야 하겠지요. 그러나 사람의 근기가 여러 계층이라서 과거세에 학문을 많이 하고 경(經) 공부를 많이 한 분들은 금생에 경을 보다가 깨닫기도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새벽에 계명성, 즉 금성을 보고 깨닫듯이, 당나라 때 영운대사(靈雲大師) 같은 분은 복숭아꽃을 보고 깨달았습니다. 또한 동산(洞山) 양개(良价)스님은 무정설법(無情說法)을 하였습니다. 무정은 인간이나 기타 동물처럼 식(識)이 있는 존재가 아닙니다. 따라서 무정설법이란 사람이 설법하는 것도 아니고, 다른 동물이 설법하는 것도 아닙니다. 나무나 흙이나 돌이 설법을 하는 것이 무정설법입니다. 우리가 생각할 때 그 말을 곧이듣기가 곤란스럽겠지요. 그러나 밝은 눈으로 볼 때는 분명히 무정설법이 존재합니다.
부처님 경전 가운데《화엄경》을 보면 "진진찰찰(塵塵刹刹)이 구설구청(俱說俱聽)"이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하나의 티끌이나 어떤 미물 또는 흙이나 사바세계의 모든 두두물물(頭頭物物)이 함께 말씀도 하고 함께 듣기도 한다는 말이 '진진찰찰 구설구청'입니다.
우리는 법사가 설법을 하고 사람만이 무슨 말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을 보자면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 소중한 설법은 사람도 아니고 동물도 아닌, 나무나 흙이나 돌이나 어떤 것이나 다 같이 설법을 하고 있고, 또한 동시에 같이 듣고 있는 것입니다. 나무도 소도 모두 다 듣고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상식 범위 밖의 일이니까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부처님 법 속에서는 그것을 긍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왜 그런가? 우리 중생의 눈에 보이는 현상적인 차원에서는 동물이 있고 사람이 있고 식물이 있고 이렇게 구분이 있다 하더라도, 본성품에서 볼 때는 모두가 다 생명 하나뿐입니다.
일체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고 했습니다. 우리가 얼핏 생각하면 사람이나 동물만 중생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부처님의 근본도리에서 볼 때는 유정무정(有情無情), 즉 식(識)이 있는 것이나 없는 것이나, 또는 모양이 있는 것이나 모양이 없는 것[有像無像]이나 모두 다 중생입니다. 따라서 일체중생(一切衆生) 개유불성(皆有佛性), 즉 모든 중생이 다 불성이 있다는 말은 어떠한 것이나 사바세계의 두두물물, 천지만유(天地萬有) 모두에게 불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그 불성은 어디에 있는가? 가슴에 있는가, 머리에 있는가? 불성은 우리 머리 가운데 있는 것도 아니고 가슴 또는 심장에 있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 몸 전체가 불성의 화신(化身)입니다. 나무의 경우에도 나무의 핵심인 목심(木心)에 불성이 있는 것이 아니고 나무 전체가 불성의 화신입니다.
가끔 말씀을 드립니다만, 부처님 이 법은 현대의 과학적인 차원에서도 웬만한 것은 다 밝혀졌습니다. 물질이라는 것 역시 우리 중생이 보아서 이것저것 하는 것이지 물리학도가 생각할 때 물질은 종국에 가서는 공간성과 시간성이 없습니다. 공간성이 없다는 것은 물질이 아니라는 말이 됩니다. 따라서 우리 소박한 상식으로 보면 무슨 분자이고 또는 산소요 수소요 하지만 이런 것도 역시 어느 정도까지 대체적으로 말한 것이지 더욱 깊이 들어가서 이른바 미시적인 미세한 분야까지 들어갈 때는 텅텅 비어 버리고 물질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과학이라는 것은 공간성이 있는, 즉 모양이 있는 것은 알지만 모양이 없는 것은 알 수가 없습니다. 과학은 시ㆍ공간의 범주 내에 든 것만을 아는 것이지 그밖의 것은 알 수가 없습니다. 또는 그밖의 소식을 우리에게 전하는 가르침도 많이 있지만, 우리를 분명하게 납득시키는 가르침은 없습니다.
물질을 떠나버린 저쪽 소식을 하늘이요, 하느님이요, 태극이요, 음양이요, 이런저런 말로 이야기하지만, 우리를 확실히 깨닫게 하는, 분명하게 입증된 가르침은 불교밖에 없습니다. 오직 부처님의 가르침만이 그런 범주에 드는 가르침입니다.
시ㆍ공간성의 세계는 물질세계라 할 수 있습니다. 물질세계의 모든 것은 아무리 소중한 것도 분석해 놓고 보면 별것 없이 텅텅 비어 버리고 맙니다. 무상할 뿐입니다. 그것은 실체가 아닌 것입니다. 그러면 물질 밖의 소식, 가장 근원적인 생명 자체는 어떻습니까? 이미 수차례 말씀드렸다시피 우리는 그것을 잘 모릅니다. 모르기 때문에 우리 현대인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 말입니다.
우리 인간은 본래 부처이므로 부처가 되어야만 우리 마음의 불안의식을 해소시킬 수 있습니다. 물질적인 잣대로 알 수 없는 세계가 이른바 성품세계입니다. 즉 이 세계는 생명 자체인 것입니다. 불성이라는 말이나, 부처님이라는 말이나, 혹은 생명이라는 말이나 모두 똑같은 말입니다. 불교는 바로 생명의 종교입니다.
요즈음 생명해방운동을 부르짖고 있습니다만, 이 역시 생명이 무엇인가 하는 본질적인 것을 알아야 합니다. 실제로 모두가 다 생명뿐이라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서, 불교 말로 견성을 해서 생명의 성품을 딱 체험해 버려야 비로소 안단 말입니다. 그렇게 하는 가장 쉬운 지름길이 참선 공부입니다.
참선 공부는 우리가 분명히 생명자리를 느끼는 공부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참선 공부를 통해서 그 생명자리를 분명히 느끼도록 해야 제대로 공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이치를 얻어야 합니다. 내 생명의 뿌리와 네 생명의 뿌리가 다른 것이라면 문제가 복잡해지겠지요. 공간성도 있다고 생각하면 내 생명, 네 생명의 차이가 있을지 모르지만, 물질이 아닌 이 생명은 자취나 모양과 같은 흔적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내 생명, 네 생명은 뿌리가 둘이나 셋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생명 차원에서 보면 일체 존재의 생명이 모두가 다 하나입니다. 일체 존재 가운데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과 식물이 다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천지우주는 바로 보면 생명뿐입니다. 그러므로 참선 공부할 때는 생명의 소재가 무엇인지, 생명이 무엇인지 하는 것을 먼저 알아야 마음이 열립니다. 참선 공부는 마음을 열고 하는 공부입니다. 마음을 열고 하지 않으면 나무아미타불이나 관세음보살을 외우고, 또는 화두를 들고 하더라도 참선 공부가 못 됩니다.
다시 바꿔 말하면 선오후수(先悟後修)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먼저 이치나 이해로 깨닫고 난 후에 닦아야 참선 공부라고 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미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치나 이해로 깨닫는 방법은 물질이란 결국 텅텅 비어 버리고 생명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생명은 하나입니다. 따라서 만법귀일(萬法歸一)이라 하는 것입니다. 만법이란 일체의 모든 존재를 가리킵니다. 그러므로 만법귀일이란 일체의 모든 존재가 다 하나의 생명으로 돌아간다는 말입니다. 생명은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한계가 있지 않습니다. 때문에 종당에는 하나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천지우주는 하나의 생명일 뿐인 것입니다. 그 생명이 바로 빛입니다. 하찮은 생명 같으면 그 생명으로 해서 저 태양이 나오고 은하계가 나오고 사람이 나오고 하겠습니까? 생명의 빛은 일체 공덕과 지혜를 갖춘 자리이기 때문에 그와 같이 이것저것 다 창조해 냅니다. 그래서 그 생명자리를 여의주(如意珠)로 비교해서 말합니다. 모든 것을 뜻대로 하는 마음 구슬이 여의주입니다. 따라서 생명인 그 자리에서 모든 것이 다 나옵니다. 달도 나오고 해도 나오고 모두가 다 나옵니다. 나오되 무작정 혼란스럽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인연을 따라서, 연기법적(緣起法的)으로 나옵니다. 그 생명 자체는 완전하고 완벽한 것이기 때문에 모든 가능성이 다 들어 있습니다. 생명 가운데 지옥ㆍ아귀ㆍ축생ㆍ아수라ㆍ인간ㆍ천상ㆍ성문ㆍ연각ㆍ보살ㆍ부처의 세계가 다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부처님께서도 고구정녕(苦口叮嚀)으로 생명의 세계를 말씀하신 것입니다. 그 세계는 광명의 세계이고 무량한 정토세계입니다. 또한 광명장(光明藏)이면서 공덕장(功德藏)입니다. 하여튼 좋은 것은 다 들어 있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