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아함경(中阿含經) 제 1 권 [1 / 1738] 쪽 중아함경(中阿含經) 중아함경(中阿含經) 제 1 권 동진(東晋) 계빈삼장(罽賓三藏) 구담(瞿曇) 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 [이 『중아함경 』은 동진(東晋) 효무제(孝武帝)와 안제(安帝) 시대인 융안(隆安) 9년 11월부터 2년 6개월에 걸쳐 동정사(東亭寺)에서 완료한 것이다. 계빈(罽賓).. 經典/중아함경(中阿含經) 2008.01.25
金剛經 四句偈(금강경사구게) 金剛經 四句偈(금강경사구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가 허망하다,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 곧 여래(진실)를 보리라.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 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不應住色生心.. 經典/금강경(金剛經) 2008.01.24
중론 제4권 [139 / 187] 쪽 중론 제4권 용수보살 지음 요진삼장 구마라집한역 범지 청목주석 박인성 번역 22. 여래를 관찰하는 장[觀如來品] 16偈 [문] 모든 세간에서 존귀하신 분을 들라면 오직 바르게 변지(遍知)하시는 여래가 있을 뿐이다. 법왕(法王)이라 불리는 일체지자(一切智者) 이 분은 존재하신다. [답] 이제 .. 經典/중론(中論) 2007.12.26
중론 제3권 [89 / 187] 쪽 중론 제3권 용수보살 지음 요진삼장 구마라집한역 범지 청목주석 박인성 번역 15. 있음과 없음을 관찰하는 장[觀有無品] 11偈 [문] 모든 법에는 각각 자성이 있다. 용도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물단지에는 물단지의 자성이 있고 천에는 천의 자성이 있다. 이 자성들은 뭇 연이 합할 때 출.. 經典/중론(中論) 2007.12.26
중론 제2권 [36 / 187] 쪽 중론 제2권 용수보살 지음 요진삼장 구마라집한역 범지 청목주석 박인성 번역 7. 삼상을 관찰하는 장[觀三相品] [문] 경전에서 “유위법에는 발생ㆍ머묾ㆍ소멸의 3상(相)이 있다”고 말한다. 모든 사물은 발생에 의해 발생하고, 머묾에 의해 머물며, 소멸에 의해 소멸한다. 그러기에 모든 법.. 經典/중론(中論) 2007.12.26
중론 제1권 [1 / 187] 쪽 중론 제1권 용수보살(龍樹菩薩) 지음 요진삼장(姚秦三藏) 구마라집(鳩摩羅什)한역 범지(梵志) 청목(靑目)주석 박인성 번역 1.인과 연을 관찰하는 장[觀因緣品] 16偈 발생하지도 않고 소멸하지도 않으며 상주하지도 않고 단멸(斷滅)하지도 않으며 같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으며 오지도 않고 가.. 經典/중론(中論) 2007.12.26
아비달마구사론 제 30 권 [1361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30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9. 파집아품 ② 그러나 만약 오로지 5취온만을 보특가라라고 이름한다면, 어째서 세존께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계신 것인가? "내 지금 그대들을 위하여 온갖 무거운 짐[重擔]과, 무거운 짐을 취하고 버리는 것과, ..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6
아비달마구사론 제 29 권 [1319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29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8. 분별정품 ② 이와 같이 지(智)의 소의지가 되는 선정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이제 마땅히 이 같은 선정에 의해 일어나는 공덕에 대해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다. 온갖 공덕 가운데 먼저 무량(無量, apramana)에 대..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6
아비달마구사론 제 28 권 [1266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28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8. 분별정품(分別定品) ① 온갖 지(智)가 성취하는 공덕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여기서는 먼저 온갖 '지'의 소의지가 되는 선정[定]에 대해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다.1) 바야흐로 온갖 선정 중에서 정려(靜慮, dhyana)..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6
아비달마구사론 제 27 권 [1223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27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7. 분별지품 ② 이와 같이 온갖 지(智)의 차별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이제 마땅히 '지'에 의해 성취되는 공덕에 대해 밝혀 보아야 할 것이니, 여기서 먼저 부처님의 불공(不共)의 공덕에 대해 분별해 보아야 할 것..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