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구사론 제 6 권 [266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6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 분별근품 ④ 이와 같이 불상응행에 대해 이미 논설하였다. 그런데 앞에서 '생상(生相)이 소생법(所生法)을 낳을 때 그 밖의 다른 인(因)과 연(緣)과의 화합을 떠나서는 그것을 낳지 않는다'고 말하였다.1) 여기서 어..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4
아비달마구사론 제 5 권 [210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5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 분별근품 ③ 이와 같이 득과 비득의 상에 대해 이미 분별하였다. 동분(同分)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동분이란 유정의 동등함이다.1) 同分有情等 논하여 말하겠다. 또 다른 개별적 실체[別實物]가 존재..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4
아비달마구사론 제 4 권 [155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4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 분별근품 ② 여기서 마땅히 사택(思擇)해 보아야 할 것이니, 일체의 유위법은 그 상이 동일하지 않은 것처럼, 생겨나는 것도 역시 각기 다른 것인가? 나아가 제법은 결정코 구생(俱生)한다고 해야 할 것인가? 결정..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4
아비달마구사론 제 3 권 [111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3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2. 분별근품(分別根品) ① 이와 같이 계(界)에 근거하여 이미 온갖 근(根)에 대해서도 열거하였다. 그렇다면 여기서의 '근'이란 무슨 뜻인가?1) 가장 수승[最勝]한 자재(自在)이며, 빛나고 현저[光顯]하기 때문에 '근'이..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4
아비달마구사론 제 2 권 [54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2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 분별계품 ② 다시 다음으로 앞에서 설한 18계 중에서 몇 가지가 유견(有見)이고, 몇 가지가 무견(無見)이며, 몇 가지가 유대(有對)이고, 몇 가지가 무대(無對)인가? 또한 몇 가지가 선(善)이고, 몇 가지가 불선이며, ..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4
아비달마구사론 제 1 권 [1 / 1397] 쪽 아비달마구사론 제 1 권 존자 세친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 분별계품(分別界品) ① 일체종의 어둠과 온갖 어둠을 멸하시고 중생을 건져 올려 생사의 늪에서 나오게 하신 모든 이 이와 같은 참다운 스승[如理師]께 공경 예배하고서 나는 이제 마땅히 대법장론(對法藏論)을 설..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4
아비달마구사론 / 해제 [1 / 57] 쪽 해 제 1. 아비달마 논서와 『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Abhidharmakosa-sastra)』은 소승 제부파 중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Sarvasti vada)의 아비달마 논서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논서이다. 그렇다면 먼저 '아비달마'란 무엇인가? 불타 입멸 후 성문(聲聞) 제자들의 관심은 오로지 '.. 經典/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24 권 [802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24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10) 성문지 ④ (3) 초유가처 출리지(出離地) ③ 다음으로1) 초야(初夜)와 후야(後夜)에 항상 부지런히 각오(覺寤)의 유가(瑜伽)를 닦는다고 하는 것은 무엇을 초야(初夜)라고 하며, 무엇을 후야(後夜)라고 하며, 무엇을 각오(..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23 권 [776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23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10) 성문지 ③ (3) 초유가처 출리지(出離地) ② 무엇을1) 근율의(根律儀)라고 하는가? 어떤 사람이 능히 잘 안주하여 깊히[密] 근문(根門)을 지키고, 정념(正念)을 지키며[防守], 정념(正念)을 상위(常委)하고 …… [廣說] 하는..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22 권 [749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22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10) 성문지 ② (3) 초유가처 출리지(出離地) ① 위와 같이 취입지(趣入地)를 설하였다. 무엇을1) 출리지(出離地)라고 하는가? 세간(世間)의 이욕(離欲)과 위와 같이 출세간(出世間)과 그리고 이 두 가지의 자량(資糧) 이를 출..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