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30송-7/혜거스님 제 7 송 有覆無記攝 隨所生所繫 유부무기섭 수소생소격 阿羅漢滅定 出世道無有 아라한멸정 출세도무유 제7 말나식은 유부무기(有覆無記)에 속하며 생(生)하는 곳에 따라 얽매인다. 수행하여 아라한과 멸진정에 든 자와 출세도를 성취한 자에게서 없어진다. (해 설) 제7 말나식은 그 성(性)이 유부무기.. 유식30송(唯識三十頌) 2007.09.21
유식30송-6/혜거스님 제 6 송 四煩惱常具 謂我痴我見 (사번뇌상구 위아치아견) 幷我慢我愛 及與觸等俱 (병아만아애 급여촉등구) 제7식은 4번뇌를 항상 갖추고 있으니 말하자면 아치(我痴)·아견·아만·아애이며 그리고 이밖에 촉(觸) 등과 상응하여 함께 한다. (해 설) 이 송은 말나식과 상응하는 4번뇌와 심소를 설명하고 .. 유식30송(唯識三十頌) 2007.09.21
유식30송-4/혜거스님 제 4 송 是無覆無記 觸等亦如是 (시무복무기 촉등역여시) 恒轉如瀑流 阿羅漢位捨 (항전여폭류 아라한위사) 제8 아뢰야식은 무부무기(無覆無記)이니 촉(觸) 등 오변행심소도 또한 이와 같다. 항상 움직임이 마치 폭류와 같으니 아라한의 자리에서 버려진다. (해 설) 이 송문(頌文)은 이미 3송에서 아뢰야.. 유식30송(唯識三十頌) 2007.09.21
유식30송-3-2/혜거스님 제 3 송 - Ⅱ 不可知執受 處了常與觸 (불가지집수 처요상여촉) 作意受想思 相應唯捨受 (작의수상사 상응유사수) 전편에서 제8식의 정상(情狀)을 요약해서 설명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송문(頌文)의 뜻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불가지라고 한 3자는 가히 알 수 없다는 뜻으로 8식이 지니고 있는 집수와 8식.. 유식30송(唯識三十頌) 2007.09.21
유식30송-3-1/혜거스님 제 3 송 - Ⅰ 不可知執受 處了常與觸 (불가지집수 처요상여촉) 作意受想思 相應唯捨受 (작의수상사 상응유사수) 제8아뢰야식은 그 작용을 알 수 없고, 집수와 처(處)와 요(了)의 작용도 알 수 없다. 항상 촉(觸)과 작의와 수(受)와 상(想)과 사(思)로 더불어 상응하되, 오직 사수(捨受)로만 한다. ( 해 설 ) 이.. 유식30송(唯識三十頌) 2007.09.21
유식30송-2/혜거스님 제 2 송 謂異熟思量 及了別境識 (위이숙사량 급요별경식) 初阿賴耶識 異熟一切種 (초아뢰야식 이숙일체종) 일송(一頌)에서 유삼(唯三)이라 말한 3식은 이숙(異熟)과 사량과 요별경식(了別境識)이다. 처음은 아뢰야식이며 이숙이며 일체종식(一切種識)이다. 이것을 일러, 이숙식과 사량식과 요별경식이.. 유식30송(唯識三十頌) 2007.09.21
유식30송-1/혜거스님 제 1 송 由假說我法 有種種相轉 (유가설아법 유종종상전) 彼依識所變 此能變唯三 (피의식소변 차능변유삼) 유식은 아(我)와 법을 가설함으로 말미암아 가지가지 현상계가 변화하는 이치를 설명한 것이다. 저 (가지가지 현상계)는 의식에 의해 변하고 이 변화의 주체(능변)는 오직 셋[심(心), 의(意), 식(.. 유식30송(唯識三十頌) 2007.09.21
유식30송/혜거스님 유식(唯識)의 개요(槪要) 일[事]에는 본말(本末)이 있고 이치(理)에는 법칙(法則)이 있어서 천하의 사가 순환되고 만법이 동시에 존재한다. 일의 본말과 이치의 법칙을 깨달아 아는 것을 부처라 하고 부처님의 가르침 가운데 핵심사상이 유식(唯識) 이다. 부처님의 가르침 가운데 제법종연생 제법종연멸(.. 유식30송(唯識三十頌) 2007.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