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유식사상 ] 3. 심식설 - (4) 8식송 제4장 유식사상 - 3. 심식설 - (4) 8식송 성(性)은 오직 무부무기이며 다섯 가지 변행이니 계(界)와 지(地)에서 다른 업력을 따라서 생하느니라. 性唯無覆며 五徧行이니 界地에 隨他業力生이라 제8식에는 5변행인 촉(觸), 작의(作意), 수(受), 상(想), 사(思)가 작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행상 즉 작용.. 성철스님 2007.04.30
[제4장 유식사상 ] 3. 심식설 - (3) 7식송 제4장 유식사상 - 3. 심식설 - (3) 7식송 대질경을 반연하며, 유부무기이고 정(情)과 본(本)에 통하니, 帶質有覆이며 通情本이니 대질경(帶質境)이란 주관과 객관 사이에 놓여 있는 중간적 대상으로 비량(比量) 즉 유추하여 분별하는 것인데 이것은 진대질(眞帶質)과 사대질(似帶質)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성철스님 2007.04.30
[제4장 유식사상 ] 3. 심식설 - (2) 6식송 제4장 유식사상 - 3. 심식설 - (2) 6식송 삼성(三性)과 삼량(三量)이며 삼경(三境)에 통하니, 三性三量으로 通三境하니 제6식은 의식(意識)을 말하는데, 거기에는 삼성(三性)과 삼량(三量)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량은 현량(現量)과 비량(比量)과 비량(非量)을 말합니다. 현량은 직관적으로 대상을 아.. 성철스님 2007.04.30
[제4장 유식사상 ] 3. 심식설 - (1) 5 식송 제4장 유식사상 - 3. 심식설 법상종에서 설하는 심식설은 성유식론(成唯識論)과 이것을 주해한 규기(窺基)의 성유식론술기(成唯識論述記), 혜소(惠沼)의 성유식론요의등(成唯識論了義燈) 등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이들 논소에 의하여 설명하기보다는 현장스님이 찬술한 팔식규거.. 성철스님 2007.04.30
[제4장 유식사상 ] 2. 아뢰야식설 - (2) 능가경~(9) 선가의 설 제4장 유식사상 - 2. 아뢰야식설 - (2) 능가경 선지식과 불자 등의 권속에 의지하여 능히 심(心), 의(意), 의식(意識)의 자기 마음의 자체 경계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니라. 依善知識佛子眷屬하여 而能得見心意意識 自心自體境界故니라. [入楞伽經;大正藏 16, p. 523中] ‘심의 의식(意識)의 자체 경계’는 자.. 성철스님 2007.04.30
[제4장 유식사상 ] 2. 아뢰야식설 - (1) 혜심밀경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제4장 유식사상 - 2. 아뢰야식설 - (1) 혜심밀경 한편으로는 공이나 연기, 중도 등을 말하며 또 한편으로는 유식의 심의식(心意識) 문제를 늘 제기하는데, 그 이유는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중도, 연기, .. 성철스님 2007.04.30
[제4장 유식사상 ] 1. 심식설의 근원 제4장 유식사상 - 1. 심식설의 근원 유식학(唯識學)을 구성하는 주요 사항 가운데 아뢰야식(阿賴耶識)이 있습니다. 실로 유식학은 이 아뢰야식을 구심점으로 하여 집약되었다고 할 만합니다. 이 아뢰야라는 말이 불교에서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에 대해 일부에서는 대승불교에 들어와서 창안되어 사용.. 성철스님 2007.04.30
[제4장 유식사상 ] 제4장 유식사상 제4장 유식사상 유식파(唯識派)는 중관파와 더불어 인도 대승불교의 한 학파입니다. 중관파가 공사상을 적극적으로 표명한 데 비하여 유식파의 기본사상은 일체 제법이 오직 식[唯識]이라는 것입니다. 이 유식사상의 원류는 부처님에게 있으나 이 사상을 교학적으로 체계화한 것은 미륵(彌勒)이며, 그.. 성철스님 2007.04.30
[제3장 중관사상 ] 2. 삼론종 - (3) 3종중도 제3장 중관사상 - 2. 삼론종 - (3) 3종중도 중론에서 중도를 나타내는 논리로 이제(二諦)와 더불어 자주 거론되는 것이 또한 팔불중도(八不中道)입니다. 이 팔불중도설과 관련하여 먼저 길장스님이 해석한 팔불의 대의(大意)를 해명하고, 그 다음 이에 의거하여 삼론종에서 주장하는 세제중도(世諦中道), .. 성철스님 2007.04.30
[제3장 중관사상 ] 2. 삼론종 - (2) 이제설 제3장 중관사상 - 2. 삼론종 - (2) 이제설 이 부분은 길장스님이 중론 초품인 「관인연품(觀因緣品)」을 해석하면서 그 특성을 여러 가지로 논의한 것 중의 한 가지인 이제(二諦)에 대한 것인데, 이것이 곧 중론의 근본 사상이라는 것이 그 주요 논지입니다. 이 중론은 비록 법으로서 궁구하.. 성철스님 2007.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