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 보현보살의 대원(大願) 보현보살의 대원(大願) 자기는 아주 잊어버리고, 오직 일체 중생을 위하여만 산다. 영원에서 영원이 다하도록 법성(法性)이 무진(無盡)하므로 법계(法界)가 무한하며, 법계(法界)가 무한하므로 시분(時分)이 무량하다. 시분이 무량하므로 중생이 무변하며, 중생이 무변하므로 자비(慈悲)가 무궁하다. 이..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구도자의 질문 구도자의 질문 1. 생명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입니까? 일체 만법이 본래 불생불멸(不生不滅)이어서 시공(時空)을 초월하여 거래(去來)가 없고, 생명(生命)도 거래(去來)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화엄(華嚴)에서도 "일체법불생(一切法不生)이요, 일체법불멸(一切法不滅)"이라 하였고 법화(法華)에서..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부처님같이 존경하라 부처님같이 존경하라 저 원수를 보되 부모와 같이 섬겨라. 觀彼怨家 如己父母 이것은 [원각경(圓覺經)]에 있는 말씀입니다. 중생이 성불 못 하고 대도(大道)를 성취 못 하는 것은 마음속에 수많은 번뇌, 팔만 사천 가지 번뇌망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많은 번뇌 가운데서 무엇이 가장 근본 되는 것인..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불(佛)법(法)승(僧) 불(佛) 법(法) 승(僧) 마음 청정이 부처요 마음 광명이 불법이요 청정하고 광명하여 거리낌없는 것이 스님이다. 心淸淨是佛 心光明是法 淨光無是僧 이것은 임제스님 법문인데, 실제로 심청정이 되고, 심광명이 되고, 정광무애가 되어야 바로 깨친 사람입니다. 마음이 청정하다, 깨끗하다 하면 어느 정..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무심(無心)이 부처다 무심(無心)이 부처다 불교라고 하면 부처님이 근본입니다. "어떤 것이 부처냐" 하고 묻는다면 여러 가지로 대답할 수 있지만 그러나 실제로 부처라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말하기는 좀 곤란한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의 근본 원리 원칙을 생각한다면 곤란할 것도 없습니다. 모든 번뇌망상 속에서 생활하..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일승법(一乘法)과 방편(方便) 일승법(一乘法)과 방편(方便) 시방 국토 가운데 오직 일승법만 있고 이승도 없고 삼승도 없는데 부처님의 방편설도 빼놓는다. 十方國土中 唯有一乘法 無二亦無三 除佛方便說 쉽게 말하자면 온 시방세계는 이대로가 항상 있는 세계[상주법계]이고, 걸림이 없는 세계[무애법계]이고, 하나의 참 진리의 세..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신심(信心)이 성지(聖地)다 신심(信心)이 성지(聖地)다 어떤 것이 부처인고 금사탄 여울가의 마씨부인이로다. 如何是佛 金沙灘頭馬郎婦 이것은 임제종의 3세인 풍혈스님의 법문입니다. 어떤 스님이 풍혈스님에게 묻기를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하니 "금사탄 개울가의 마씨부인이다" 하였습니다. 이 말이 떨어지는 곳(낙처), 즉 ..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영혼의 세계 영혼의 세계 지난 수천 년 동안에 많은 사람들에 의해 논란과 시비가 되면서도 완전히 결론을 내리지 못한 문제로 영혼 문제가 있습니다. 어떤 과학자나 철학자, 종교가는 영혼이 꼭 있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또 어떤 학자들은 영혼 같은 것은 없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싸움은 수천 년 동안 계속되어 내..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내가 부처가 된 때 내가 부처가 된 때 내가 부처가 된 이후로 지내온 많은 세월은 한량없는 백천만억 아승지로다. 自我得佛來 所經諸劫數 無量百千萬億阿僧祗 이 구절은 법화경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에 있는 말씀인데 법화경의 골자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내가 성불한 뒤로 얼마만한 세월이 경과했느냐' 하면 숫자로..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참선하는 법 참선하는 법 1. 불교에서는 '모든 것이 마음이다[一切唯心]'라고 말합니다. 마음 밖에는 아무 것도 없다는 말입니다. 또한 즉심시불(卽心是佛)이라고도 합니다. 내 마음이 바로 부처님이라는 말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팔만대장경에 담겨 있으므로 불교를 알려면 팔만대장경을 다 봐야 할터인데 누.. 성철스님 2007.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