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 광수공양(廣修供養) 광수공양(廣修供養) 어떤 도적놈이 나의 가사장삼을 빌려 입고 부처님을 팔아 자꾸 죄만 짓는가. 云何賊人 假我衣服 裨販如來 造種種業 누구든지 머리를 깎고 부처님 의복인 가사장삼을 빌려 입고 승려탈을 쓰고 부처님을 팔아서 먹고 사는 사람을 부처님께서는 모두 도적 놈이라 하셨습니다. 다시 말..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불생불멸과 중도 불생불멸과 중도 일체만법이 나지도 않고 일체만법이 없어지지도 않나니 만약 이렇게 알 것 같으면 모든 부처님이 항상 나타나는도다. 一切法不生 一切法不滅 若能如是解 諸佛常現前 이것은 화엄경에 있는 말씀인데 불교의 골수입니다. 결국 팔만대장경이 그렇게 많고 많지만 한마디로 축소하면 '불..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자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자 행복이 다가오는 소리가 들립니다. 미소를 머금은 행복이 당신의 문을 두드립니다. 삼계(三界)가 두루 열리고 작약과 수련 활짝 핀 앞뜰에 벌과 나비가 춤추고, 건너 산에서 꾀꼬리 소리 요란한데, 어찌 몽환(夢幻) 속에 피는 공화(空華)를 혼자서 잡으려 애를 씁니까. 더불어..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칠흙같은 어둠 사라지고 칠흙같은 어둠 사라지고 난타가 피운 한 잔의 기름등은 오늘도 타오르고 있습니다. 우리들이 피운 과거의 등불도 오늘도 밝게 빛나고 미래에도 빛날 것입니다. 허공보다 넓고 바다보다 깊으며 청정무구한 우리들의 마음속에 타오르는 등불은 삼라만상을 밝게 비추니 칠흑 같은 어둠은 사라지고 환희..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본래의 마음으로 보라 본래의 마음으로 보라 가없는 우주로 집을 삼고 한없이 많은 만물들은 형제되어 호수백발(皓首白髮)의 노부모를 모시고 사이좋게 살아가니, 전체가 평등하며 낱낱이 완전합니다. 모두가 뛰어난 예지를 갖추고 거룩한 덕행이 원만하여 천상천하에 독존무비(獨尊無北)한 본래불(未來佛)이라 이름하나..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8. 중도(中道)의 여러가지 표현 8. 중도(中道)의 여러가지 표현 현수(賢首)대사가 화엄종을 크게 일으켜 오교장(五敎章)이란 책을 지었는데 그것은 화엄종의 개종선언서(開宗宣言書)와 같은 것입니다. 거기에서 이렇게 말씀했습니다. 「정념(情念)을 버리니 정리(正理)가 스스로 나타나고 정리(正理)를 따르니 정념(情念)이 스스로 없..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7. 중도사상의 독창성 7. 중도사상의 독창성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같이 근본불교 원시불교 대승불교를 일관하는 중도사상이라는 것이 불교만의 독특한 진리인지 아니면 다른 종교나 철학에 있어서도 이 중도의 사상이 있는지 한번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학문이나 무슨 이론이든지간에 그 시대상을 떠나서는 그 학..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6.불교 최고 원리는 중도(中道) 6.불교 최고 원리는 중도(中道) 1) 교학(敎字)에서 중도(中道)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불교는 다른 종교와는 달리 그 교리 내용이 복잡다단합니다. 다른 종교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은 간단하지만 불교의 소의경전은 팔만대장경이라고 하는 방대한 전적이 있읍니다. 그 속에서 무슨 말씀을 주로 하셨는..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5. 참선은 성불의 지름길 5. 참선은 성불의 지름길 이제까지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고 계속 강조해 왔읍니다.그러면 우리들의 마음을 깨치려고 하면 여러 방법이 있는데 교(敎)에 있어서는 중생의 근기에 따라〈삼승십이분교〉가 벌어지고 또 선(禪)에 있어서는 언어 문자를 버리고 바로 깨쳐야 한다고 하였읍니다. 그러나 선.. 성철스님 2007.11.21
[성철스님] 4. 불교의 근본과 특징 4. 불교의 근본과 특징 이제까지불교는 깨달음의 종교라고 계속해서 이야기 해왔읍니다. 이야기가 조금 벗어나지만 종교란 궁극적으로 무엇이며 그 가운데에서도 불교란 어떤 종교상의 특징과 무엇을 근본으로 삼느냐 하는 문제를 잠깐 살펴봅시다. 물론 불교나 예수교나 회교나 이미 다 알다시피 세.. 성철스님 2007.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