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해탈 열반 도움되는 ‘선법’ 일으키라 ‘행복한 과보’ 가져오는 37보리분법 등이 선법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는 37보리분법 가운데 두 번째는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sammappadha-na)이다. 그러면 무엇이 네 가지 바른 노력인가? 경은 이렇게 말한다. “비..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8.29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 ③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 ③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마음챙김 없이는 닦을 수 없다” 이제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몇 가지를 살펴보자. 첫째, 무엇보다도 개념적 존재(施設, pan~n~atti)의 해체가 중요하다. 이것이 <대념처경>(D22)이나 <마음챙김의 확립 상윳따>(S47) 등에서 마음챙김의 대상을..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8.29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불교TV 강의 자료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 해체해서 보기 2008년 11월 6일부터 매주 목/금/토 방영 강의: 각묵 스님(초기불전연구원 지도법사) 강의 주제: 제1강: 왜 초기불교와 해체해서 보기인가 제2강: 초기불교의 기본주제: 행복1 제3강: 초기불교의 기본주제: 행복2(궁극적 행복) 제4강: 초기불교의 ..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8.27
사마타 위빠사나 - 파욱 또야 사야도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정통 수행법의 실제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 파아욱 또야 사야도 법문 / 무념 옮김 법 공 양 이 책은 역자의 허락 없이 출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용을 절대로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누구든지 부처님의 정통 가르침을 세상에 알리고자 하시는 분은 법보시용으로..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08.27
“선정-삼매 닦아야 진정한 위빠사나 가능” 사마타 수행의 달인 파욱 아친나 사야도 “선정-삼매 닦아야 진정한 위빠사나 가능” 위빠사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통의 소멸에 이르는 네 가지 단계부터 알아야 합니다. 부처님께서 사성제를 가르치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세 번째 성스러운 진리, 곧 열반을 깨닫게 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08.27
마음을 맑히는 알아차림 수행 결정판 1. 어느 때 어느 대상이든 현재에 있는 대상하나를 꼭 잡아서 알아차려야 한다. 이때 주의할 일은 있는 대상을 보고 상상하거나 없는 대상을 만들어서 잡지 말아야 한다. 과거의 일과 미래의 일은 모두 현재가 아닌 망상에 속한다. 수레바퀴가 돌 때 닿는 점은 항상 한 지점이다. 그 닿는 지점이 현재다...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08.27
마음챙김(싸띠팟타나)의 의미 마음챙김(싸띠팟타나)의 의미 (The Meaning of Satipa h na) 사야도 우 판디타 비왐사 Sayadaw U Pandit bhivamsa 0. 머리말 사야도 우 판디타께서는 자주 마음챙김의 의미에 대해서 말씀하신다. 그는 수행 도중에 생겨나는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대상들을 알아차리고 관찰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어..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08.27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공부(出入息念)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공부(出入息念) 지금 여기서 행복하게 머무는 기초 들숨날숨(a-na-pa-na, 安般, 出入息)은 네 가지 마음챙기는 공부(사념처)의 21가지 명상주제 가운데서 맨 처음에 언급된 마음챙김의 대상이다. 그리고 들숨날숨은 이미 <맛지마 니까야>에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경>(..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8.16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 ② 마음챙김의 대상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 ② 마음챙김의 대상 “마음 챙김의 대상은 ‘나’ 자신” 마음챙김이란 ‘마음이 대상을 챙기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대상을 신.수.심.법(身受心法) 즉 몸.느낌.마음.법의 넷으로 정리했기 때문에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라 부르는 것이다. 마음챙김은 일..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7.31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사념처) ①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사념처) ① - 왜 마음챙김인가 청정범행 닦음은 열반으로 완결 다섯가지 감각기능 의지처 마음 해탈과 연결시켜주는 중요 기능 37보리분법(菩提分法) 혹은 37조도품(助道品) 가운데 항상 제일 먼저 나타나는 가르침은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 cattaro satipat.t.ha-na-)’..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