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9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괴로움을 일으키는 힘이 강한 자는 괴로움을 소멸시키는 힘도 강합니다. 한 쪽의 힘이 강하면 그것을 해결하려는 다른 한 쪽의 힘도 똑같이 강합니다. 그래서 괴로움이 많은 사람이 수행을 더 열심히 합니다. 매우 잘못된 자가 크게 개선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6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8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태어나서 죽을 때 까지 살아서 숨을 쉰다는 것 자체가 괴로움입니다. 몸과 마음은 병과 불만으로 편할 날이 없습니다. 즐거움인줄 알았던 것도 시간이 지나면 괴로움입니다. 이런 괴로움의 정체는 불만족입니다. 즐거움이 많으면 많을수록 괴롭고, 또 없으면 없어서 괴롭습..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6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7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여섯 가지 감각기관인 눈[眼], 귀[耳], 코[鼻], 혀[舌], 몸[身], 마음[意]이 여섯 가지 감각대상인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을 만나서 즐기는 것을 감각적 쾌락이라고 합니다. 감각적 쾌락에 심취한 사람은 감각 대상이 없으면 불안합니다. 항상 즐길 거리를 ..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6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6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수행은 관념을 대상으로 하는 사마타 수행과 실재를 대상으로 하는 위빠사나 수행 두 가지가 있습니다. 대상의 모양과 명칭을 알아차리면 사마타 수행이고 실재하는 느낌을 알아차리면 위빠사나 수행입니다. 그래서 사마타 수행은 대상의 고유한 특성이 없고 위빠사나 수..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6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5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탐욕은 자신도 느끼지 못하는 매우 작은 것들을 바라는 마음으로부터 시작합니다. 무엇이나 무심히 좋아하는 마음으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신을 탐욕의 노예로 살게 합니다. 처음에는 사소한 것을 좋아하는 마음으로 시작하지만 차츰 집착을 하게 되고 끝내는 탐..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6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4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위빠사나 수행은 자기가 최고라는 마음으로 인해서 괴로움을 겪고 있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수행입니다. 그러나 자기가 최고라는 것을 증명하려는 사람은 수행을 계속할 수가 없습니다. 위빠사나는 정직하지 못한 마음으로 인해 괴로움을 겪고 있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수행..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6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3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진실은 한 순간에 있으며 현재의 몸과 마음에 있습니다. 조금 전에 있던 순간은 지나가 버리고 현재가 되며, 현재라고 하는 순간도 이미 지나면 과거가 됩니다. 모든 것들은 변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오직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 순..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6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2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범부는 자신이 누구인지를 모릅니다. 그래서 내가 있다고 생각하여 얻기 위해서 잘못을 저지르고, 가지면 가진 만큼 교만하고, 알면 아는 만큼 자아가 강해집니다. 교만하고 자아가 강하면 괴롭습니다. 그래서 가져도 가진 것이 아니고, 알아도 아는 것이 아닙니다. 성자는 ..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6
12연기와 위빠사나/5 안녕하십니까? 한국 명상원의 묘원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늘도 12연기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교재를 가지고 법문을 하겠습니다. 연기는 부처님밖에 모르는 매우 난해한 법입니다. 우리가 처음부터 이것을 알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차츰 공부를 하다보면 조금씩 조금씩 연기를 이해하게 ..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5
12연기와 위빠사나/4 안녕하십니까? 오늘도 연기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연기는 그 자체로서 법(法)입니다. 오온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하나의 순환의 질서를 연기라고 합니다. 하나의 현상이 사라져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는 과정이 끝없이 연속되는 것을 윤회라고도 말하며 연기라고도 말합니다. 일어나..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