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연기와 위빠사나/3 안녕하십니까? 한국명상원의 묘원입니다. 오늘은 12연기에 대한 세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모곡 사야도 12연기 법문집인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본문 제1장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공부하기에 앞서 여러분께 드릴 당부는 이 내용이 어렵더라도 그냥 들으시기 바랍니다. 연기는 매우 심..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5
12연기와 위빠사나/2 안녕하십니까? 상좌 불교 한국명상원 묘원입니다. 오늘은 어제 12연기에 대한 첫 번째 법문에 이어서 두 번째 시간으로 우 티틸라 사야도의 서문에 관해서 여러분과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모곡사야도의 법문집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에 기록되어있는 우 티틸라 사야도의 서문을 여러분들과 함..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5
12연기와 위빠사나/1 2009년 12월 14일 안녕하십니까? 사단법인 상좌 불교 한국 명상원의 묘원입니다. 오늘부터 여러분들과 함께 부처님의 위대하신 가르침인 12연기와 위빠사나에 대한 공부를 시작해보겠습니다. 부처님이 설하신 12연기는 인류 역사에 가장 위대한 사상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이 12연기법은 지금까지 인간이..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5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1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상대에 대한 예의를 갖추지 않고 무례한 것은 범부가 일으키는 불선행입니다. 그 근본 원인은 어리석음이며, 알아차리지 못해서 양심과 수치심이 없고, 부끄러운 줄 모르는 잘못된 행동입니다. 이런 사람들의 특성은 탐욕이 많고, 내가 최고라는 사견이 있으며, 자만에 중..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4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30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위빠사나는 능력을 얻는 수행이 아니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아 괴로움의 소멸을 일으키는 지혜 수행입니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은 대상을 관념으로 보지 않고 실재하는 성품을 보는 것입니다. 몸을 알아차릴 때 몸의 모양이나 미추(美醜), 대소(大小),등을 보는 ..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4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29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눈으로 수행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눈이 보고 그것을 아는 마음이 있어서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귀로 수행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귀로 듣고 그것을 아는 마음이 있어서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코로 수행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코로 냄새를 맡고 그것을 아는 마음이 있어..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4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28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탐욕이 많은 사람이 수행을 하면 노력은 하지 않고 불평만 합니다. 수행은 새로운 습관을 길들이는 과정이라서 원래가 잘 안 되는 것입니다. 위빠사나는 잘 안 되는 것을 알아차려서 받아들이는 수행입니다. 누구나 계속해서 노력을 하면 약간의 집중력이 향상됩니다. 하지..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4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27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좋은 일을 했다고 해서 모두 칭찬만 받는 것은 아닙니다. 좋은 일도 하기 나름입니다. 잘못하면 좋은 일을 하고도 오히려 욕을 먹습니다. 좋은 일을 할 때 과시를 하거나 독선적으로 하면 오히려 비판을 받습니다. 자신의 욕망대로 하면 남에게 고통을 줍니다. 좋은 일도 나..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4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26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생각하고, 말하고, 먹고, 행동하는 것이 모두 병을 일으키는 원인입니다. 선하게 생각하고, 선하게 말하고, 선하게 먹고, 선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계율로 생각하고, 계율로 말하고, 계율로 먹고, 계율로 행동해야 병에 걸리지 않습니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것이..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4
붓다의 수행법/위빠사나/25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마음은 비물질이라서 글이나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고 그래서 이해하기도 어렵습니다. 마음은 무지와 지혜로 구별됩니다. 아는 마음과 모르는 마음의 차이는 산이 가로막히거나 절벽으로 단절된 것과 같습니다. 모두 저마다의 생각을 말하기 때문에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초기불교/붓다의수행법·위빠사나·묘원법사 2010.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