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공경 121 121. 공(空)에 관한 작은 경 1.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싸밧티 시의 뿝빠라마에 있는 미가라마뚜 강당에 계셨다. 2. 그 때에 존자 아난다가 아침 일찍 홀로 명상하다가 일어나 세존께서 계신 곳으로 가까이 갔다. 가까이 가서 세존께 인사를 드리고 한 쪽으로 물러 앉았다. 한 쪽으로 물..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마하삿짜까 경(Mahaasaccaka Sutta, 삿짜까에게, M36) 마하삿짜까 경(Mahaasaccaka Sutta, 삿짜까에게, M36)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 역경 http://cafe.daum.net/chobul §1. 서언 §2. 몸을 닦음 §3. 몸을 닦음/마음을 닦음 §4. 출가 §5. 감각적 욕망에 대한 세가지 비유 §6. 고행 1 §7. 고행 2 - 숨 안쉬는 고행 §8. 고행 3 - 음식에 대한 고행 §9. 유년시절의 좌선을 회상..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성구경(聖求經, Ariyapariyesanaasutta, 성스러운 참구, M26) 성구경(聖求經, Ariyapariyesanaasutta, 성스러운 참구, M26)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 역경 http://cafe.daum.net/chobul §1. 서언 §2. 성스럽지 못한 참구 §3. 성스러운 참구 §4. 알라라 깔라마 §5. 웃다까 라마뿟따 §6. 열반의 증득 §7. 범천의 권청 §8. 전법의 결심 §9. 유행승 우빠까 §10. 오비구 §11. 다섯 가..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犬誓戒經, Kukkuravatika Sutta, M57 견서계경(犬誓戒經, Kukkuravatika Sutta, M57, 개처럼 살기)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 역경 http://cafe.daum.net/chobul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꼴리야의 할릿다와사나라는 꼴리야의 읍에 머무셨다. 2. 그때 소처럼 사는 서계(誓戒)를 지닌 꼴리야의 후손인 뿐나와 개처럼 사는 서계를 지닌 나체..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제번뇌단속경(Sabbaasavasamvara Sutta, M2) 제번뇌단속경(Sabbaasavasamvara Sutta, M2)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 역경 http://cafe.daum.net/chobul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 있는 제따 숲의 급고독원에 머무셨다. 그곳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을 부르셨다, "비구들이여" 라고. "세존이시여" 라고 그들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회계사 목갈라나 경(ga.nakamoggallāna sutta, M107) 회계사 목갈라나 경(ga.nakamoggallāna sutta, M107)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 역경 http://cafe.daum.net/chobul/1AoB/102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사왓티 동승원의 녹자모 강당에 머무셨다. 그때 회계사인 목갈라나 바라문이 세존을 뵈러 갔다. 세존을 뵙고 세존과 함께 환담을 나누었다. 유쾌하고 ..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역마차경(Rathaviniitasutta, M24) 역마차경(Rathaviniitasutta, M24) -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 역경 http://cafe.daum.net/chobul - [각묵스님 주해] 역마차경(Rathaviniitasutta)은 중부 제24경입니다. 이 경은 지혜제일 사리뿟따(사리불)존자와 설법제일 뿐나(부루나) 존자의 대화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여기에는 청정도론 저술의 배경이 되는 7청정이 왕..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디가니까야 해제 - 각묵스님 디가니까야 해제 - 각묵스님 「범망경」(梵網經, Brahmajāla Sutta, D1) 인간은 견해의 동물이다. 인간은 매순간 대상과 조우하면서 수많은 인식을 하게 되고 그런 인식은 항상 견해로 자리잡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간이 가지는 견해는 너무도 다양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견해는 항상 무엇이 바른 견해인가..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대념처경, Mahaasatipat*t*haana Sutta, D22 마음챙김의 확립(대념처경, Mahaasatipat*t*haana Sutta, D22) 각묵스님 번역 I. 서언 1-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꾸루 지방의 깜맛사담마라는 꾸루족들의 읍에 머무셨다. 그곳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
[스크랩] D9.「뽓타빠다 경」(Potthapāda) - 인식의 문제, 자아의 문제 「뽓타빠다 경」(Pot*t*hapāda Sutta, D9) - 인식의 문제, 자아의 문제 장아함28.포타바루경(布咤婆樓經) [초기불전연구원 각묵스님해제] 「뽓타빠다 경」(Pot*t*hapāda Sutta, D9) 인간의 정신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인식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세존께서는 인간을 설명.. 초기불교/초기불교 201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