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연기와 위빠사나/85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망상을 많이 한다는 것은 망상이 싫건 좋건 간에 망상하는 것을 좋아서 계속하고 있는 것입니다. 망상을 많이 할 때는 망상하는 마음을 알아차려야 합니다. 망상은 마음이 하므로 그 마음을 보면 뿌리를 알게 됩니다. 망상은 생각을 놓지 않고 기억을 되풀이 하는 것입니다...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20
12연기와 위빠사나/84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망상은 깊은 무지이며 잠재의식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망상은 자신의 습관이지만, 실재하는 것이므로 그것 자체가 법입니다. 망상은 살아있지만, 깨어서 다른 꿈을 꾸는 것이며, 현실에 근거하지 않는 고정 관념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망상은 현재에 있지 않고 과거와 미래..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9
12연기와 위빠사나/83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수행을 시작하면 제일 먼저 나타나는 손님들이 있습니다. 이 손님을 장애라고 하는데 모두 알아차려야 할 법입니다. 장애는 해탈을 원하는 수행자를 윤회계에 붙들어 맵니다. 이러한 장애를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것이 수행입니다. 장애는 다섯 가지가 있는데 감각적 욕..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7
12연기와 위빠사나/82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진리는 어디에 있습니까? 모양이 있다고 해서 실재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깨달음의 세계에서는 법의 성품을 알아야 합니다. 실재는 보이지 않아서 없는 것 같지만, 없는 것이 아닙니다. 실재하는 성품은 인식하는 것으로써, 느낌으로 나타납니다. 진리는 관념, 모양..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7
12연기와 위빠사나/81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수행을 할 때 알아차릴 대상이 법입니다. 그러므로 수행이란 법을 맞이하는 것입니다. 법은 관념적인 대상의 속제가 있으며, 실재하는 대상을 아는 진제가 있습니다. 관념을 대상으로 하는 수행은 사마타이며, 실재를 대상으로 하는 수행은 위빠사나입니다. 사마타는 모양..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7
12연기와 위빠사나/80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갈애의 본성은 눈, 귀, 코, 혀, 몸, 생각이라는 여섯 가지 감각 기관의 문을 통해서 들어오는 다양한 대상을 즐기는 마음입니다. 모든 괴로움의 원인이 되는 갈애를 막는 길은, 이것이 일어나는 것을 없애려고 해서는 안 되고, 들어오는 대상을 6문에서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7
12연기와 위빠사나/79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수행자에게는 수행방법에 대한 갈애가 있는데 바꾸지 않으려는 갈애와 바꾸려는 갈애가 있습니다. 하나는, 자기가 하고 있는 수행방법을 집착하여 더 좋은 방법이 있어도 외면하는 것입니다. 또 하나는, 자기의 수행방법에 대해서 확신이 없어서 항상 더 좋은 방법을 찾아..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6
12연기와 위빠사나/78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수행을 할 때는 목표가 있어야 하지만, 함에 있어서는 어떤 것도 바람이 없이 해야 합니다. 목표는 의지(意志)로, 뜻을 세우는 것이지만, 바라는 것은 욕망으로써 집착을 동반한 것입니다. 목표가 없으면 동기가 부여되지 않아 의욕이 없고, 바라면 탐욕이 되어 대상을 바로 ..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6
12연기와 위빠사나/77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갈애는 보통 사람들이 몹시 바라는 마음입니다. 세상의 모든 것은 갈애에 의해서 이끌려가고, 갈애는 모든 괴로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깨달음은 갈애가 끊어져 집착을 일으키지 않는 것입니다 갈애의 종류는 3가지가 있는데 감각적 쾌락을 바라는 갈애가 있으며, 살..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6
12연기와 위빠사나/76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탐욕은 선하지 못한 마음으로 하는 행위입니다. 누구나 행복을 원하며 불행해지고 싶지 않습니다. 그러나 불행을 가져오는 선하지 못한 행위를 하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행복을 얻을 수가 없습니다. 탐욕의 뿌리는 무지이며 탐욕은 탐욕을 영양으로 먹고 자라기 때문에 ..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