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2) - 초기의 행법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2) - 초기의 행법 혜능의 무념법, 돈오와 활용 깨달음의 생활속 구현 추구 중국의 선은 조사선을 말하고 간화선과 묵조선은 이의 체득법으로서 정형화되어 있는 수행법이다. 그러나 이들은 주지하다시피 송대에 정립된 것들이고, 그렇다면 이들 이전, 즉 초조 달..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1) - 지관법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1) - 지관법 기존법 정리한 종합 수행론. 오늘날에도 유용한 가르침... 중국에서 나타난 수행법은 수대(隋代) 천태의 지관법과 송대의 간화선 및 묵조선이다. 간화선과 묵조선이 중국에서 형성된 조사선의 체득 방법론이라면 천태의 지관법은 이전의 수행법에 바..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9)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9) 시대와 근기에 적합한 경전 수행법 주목해야... 지금까지 경전상에 나타난 수행법들을 살펴 보았다. 그러나 이들 행법은 중국 이후 거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들 방법을 세분화되고 단계적 구조를 띤 행법, 점층적 체계의 증과(證果) 형태, 오..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8)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8) 대소승 수행법 정리 통해, 중국의 순수禪이 탄생... 경전에서 밝히고 있는 수행법은 이미 기술한 몇몇 내용 이외에도 수많은 방법들이 있고, 이들은 부파와 대승을 거치면서 내용적으로 심화되고 방법 면에서는 세분화를 거쳐 다시 통일된 형태로의 ..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7)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7) 생·노·병·사 원인 살펴., 팔정도로 괴로움 소멸... 지난 번에 이어 사념처 수행 중 마음(心)과 법(法)에 대한 것을 역시〈대념처경〉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마음은 수행 중 나타나는 마음현상을 관찰하는 것으로 하나의 마음현상이 생겨나고 감지..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6)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6) 몸·느낌·마음·법을 ‘알아차림’으로 관찰 초기 수행법의 용어나 개념들에 대한 여러 이견들이 있지만 기존 자료들을 중심으로〈대념처경〉에서 밝히고 있는 사념처(四念處)의 수행법을 살펴 보자. 사념처는 몸(身)과 느낌(受), 마음(心), 법(法)..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5)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5) 한국의 위빠사나 해석., 학자마다 의견 달라... 초기 경전의 중요한 수행법 중의 하나로〈대념처경(大念處經)〉등 여러 경전에서 밝히고 있는 사념처(四念處)의 행법이 있다. 몸(身)과 느낌(受), 마음(心), 법(法)을 관찰하는 것으로 초기의 대표적 수행..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4)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4) 집중 속에서 대상 살피기., 인연관으로 지혜 밝힐 수 있어... 불교는 지혜와 자비를 행동의 원천으로 삼는다. 사상으로는 지혜, 실천으로는 자비를 기본으로 하며, 이중 어느 하나가 결여되면 나머지도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둘이 흔히 새의 양 날개, ..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3)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3) 다스리는 자비관으로 상대 아픔 제거할 수 있어... 초심자의 수행법 중 자비관(慈悲觀)은 화를 잘 내는 사람들에게 그것을 다스리도록 하는 방법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항상 즐거움을 주고자 하는 마음(慈)과, 그들을 연민히 여기어 고통을 제거해 주..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2)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경전에서의 마음 조절법 (2) 욕망에 갈등하는 초심자., 부정관으로 극복할 수 있어... 부정관(不淨觀)은 성욕의 극복을 위한 것으로 대승법이 흥성한 이후에도, 또 중국의 초기에서까지 초심자에게 가르친 대표적 수행법 중의 하나였다. 성적 욕망이 수행과 그렇게 크게 관련되느.. 話頭·參禪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