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 ⑥ 알음알이의 무더기(識蘊) 나는 누구인가 ⑥ 알음알이의 무더기(識蘊) 마음을 절대화하면 ‘아상’에 떨어져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부처님의 마지막 대답은 알음알이(識, vin~n~ana)이다. 필자가 ‘알음알이’로 옮기고 있는 용어는 중국에서 식(識)으로 옮긴 ‘윈냐나’이다. 윈냐나는 vi(분리해서)+√jna(알다)에서 파생된 명사인..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23
나는 누구인가 ⑤ 심리현상들의 무더기(行蘊) 나는 누구인가 ⑤ 심리현상들의 무더기(行蘊) “뭉쳐두면 속고 해체하면 깨달아”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부처님의 네 번째 대답은 심리현상들(行, sankara)이다. 필자가 ‘심리현상들’이라고 조금 생소하게 옮기고 있는 용어는 중국에서 행(行)으로 옮긴 상카라(sankhara)이다. 이 단어는 sam(함께)+√kr(행..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20
나는 누구인가 ④ 인식의 무더기(想蘊) 나는 누구인가 ④ 인식의 무더기(想蘊) 실천하는 불자가 진정한 불제자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부처님의 세 번째 대답은 인식(想, san~n~a)이다. 인식을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온의 두 번째인 느낌(受)이 감정적이고 정서적이며 예술적인 심리현상들(行)의 단초(端初)가 되는 것..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20
나는 누구인가 ③ 느낌의 무더기(受蘊) 나는 누구인가 ③ 느낌의 무더기(受蘊)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껴라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부처님의 두 번째 대답은 느낌(受, vedana)이다. 느낌은 자본주의의 가장 민감한 주제요, 젊은이들이 ‘필이 팍 꽂혔다’고 열광하는 저 필(feel) 혹은 필링(feeling)을 뜻한다. 그래서 일찍부터 서양에서 ..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20
나는 누구인가 ② 물질의 무더기(色蘊) 나는 누구인가 ② 물질의 무더기(色蘊) 지수화풍 4대와 24가지 파생물질 부처님께서는 나라는 존재를 물질(몸뚱이, 色), 느낌(受), 인식(想), 심리현상들(行), 알음알이(識)의 다섯 가지 무더기(蘊)로 해체해서 말씀하셨다. 나를 해체해서 봐야 무상이 보이고 고가 보이고 무아가 보이며 그래야 궁극적 행..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20
나는 누구인가 ① 오온 나는 누구인가 ① 오온 스스로 던지는 가장 많은 질문 초기불교의 기본 가르침은 교학과 수행의 둘이요, 교학은 온.처.계.근.제.연의 여섯으로 정리되고, 수행은 37보리분법으로 집약된다. 먼저 오온에 대한 개관을 해보도록 하자. 인류가 있어온 이래로 인간이 스스로에게 던진 가장 많은 질문은 ‘나..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19
초기불교의 핵심 - 해체해서 보기 초기불교의 핵심 - 해체해서 보기 뭉쳐두면 속고 해체하면 깨닫는다 무상.고.무아 각각 통찰하면 탐욕이 빛바래 해탈.열반 실현 이쯤에서 초기불교의 핵심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초기불교의 핵심을 한 마디로 말해보라면 필자는 주저 없이 ‘해체해서 보기’라고 자신 있게 대답한다. 이 해체라는 용..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18
기본 가르침 기본 가르침 부처님 원음, 모호하지 않고 명료 초기불교의 목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초기불교는 열반이라는 궁극적 행복의 실현을 근본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숫따니빠따>는 “열반을 실현하는 것(nibbana-sacchikiriya)이야말로 으뜸가는 행복”(Sn. 267번 게송)이라고 결론짓는다. 열반의 실현은 부..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18
초기불교의 목적 초기불교의 목적 금생과 내생 궁극적인 행복의 실현 이제 초기불교의 목적에 대해서 살펴볼 차례다. 인간은 행복을 추구한다. 경제행위, 정치행위, 문화행위, 철학행위, 의술행위, 종교행위 등 인간의 모든 행위는 행복해지기 위해서이다. 불교도 행복을 추구한다. 행복이야말로 초기불교가 추구하는 ..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18
왜 초기불교인가? 왜 초기불교인가? 초기불교는 대승불교 살찌우는 뿌리 필자는 초기불전인 빠알리 삼장의 완역을 발원하고 나름대로 번역불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필자가 많이 받는 질문이 ‘왜 하필이면 초기불교인가?’이다. 필자는 다음의 8가지로 정리해서 대답한다. 빠알리어 전승으로 원음 근접 자의..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