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챙김이야말로 구체적 수행기법” “마음챙김이야말로 구체적 수행기법” 팔정도② - 여덟 가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바른 삼매는 다섯 가지 장애 극복 마음의 행복.평화가 가득한 경지 지난 호 말미에서 팔정도의 여덟 가지 구성요소들 가운데 첫 번째인 바른 견해(正見)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제 두 번째인 바른 사유부터 살펴보..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1.01.13
연기의 가르침이 바로 ‘바른 견해’ 연기의 가르침이 바로 ‘바른 견해’ 팔정도 ① 팔정도는 37보리분법의 일곱 가지 주제 가운데 마지막인 일곱 번째에 해당한다. 그리고 팔정도는 <상윳따 니까야> <도 상윳따>(S45)의 주제이기도 하다. 문자적으로 팔정도(八正道)는 여덟 가지 바른 도라는 뜻이다. 그런데 니까야에서 팔정도는 ..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1.01.13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 침체나 들뜸은 깨달음 구성요소 달라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七覺支, satta bojjhan.ga)는 37보리분법의 일곱 가지 주제 가운데 여섯 번째에 해당한다. 그리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는 <상윳따 니까야> <깨달음의 구성요소 상윳따>(S46)의 주제이..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1.01.13
다섯 가지 기능(五根)과 간화선의 대신근.대분지.대의정 다섯 가지 기능(五根)과 간화선의 대신근.대분지.대의정 간화선, 초기불전서 출처 찾아야 대의정은 초기불교서 강조하는 念定慧 심리현상 극대화된 상태 <선가귀감> 등에는 간화선 수행의 필수요소로 대신근(大信根), 대분지(大憤志), 대의정(大疑情)의 세 가지가 언급되고 있다. 이것은 솥의 세발..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1.01.13
다섯 가지 힘(五力) 다섯 가지 힘(五力) 믿음의 기능이 곧 믿음의 힘이다 기능은 통제와 지배를 의미하고 반대에 의해 흔들리지 않는 게 힘 37보리분법을 구성하고 있는 4념처, 4정근, 4여의족, 5근, 5력, 7각지, 8정도의 7가지 주제 가운데 다섯 번째는 다섯 가지 힘(五力, pan~ca-bala) 즉 5력이다. 다섯 가지 힘(五力)은 <상윳따..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9.13
다섯 가지 기능(五根) 다섯 가지 기능(五根) 조화롭게 닦아야 진정한 수행자 37보리분법은 해탈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초기불교의 수행법 7가지를 집대성한 것이며, 이 가운데 오늘 살펴볼 네 번째 주제는 다섯 가지 기능(五根, pan~ca indriya)이다. 여기서 빤짜(pan~ca)는 다섯을 뜻하고 인드리야(indriya)는 기능이나 능력을 뜻한다...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9.13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 신통 깨달음과 열반 이르는 길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는 37보리분법 가운데 세 번째 주제는 네 가지 성취수단(四如意足, 잇디빠다, iddhi-pa-da)이다. 경에서 잇디(iddhi)는 신통을 뜻하기도 하고 성취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빠다(pa-da)는 √pad(to go)에서 파..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8.29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해탈 열반 도움되는 ‘선법’ 일으키라 ‘행복한 과보’ 가져오는 37보리분법 등이 선법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체계적으로 담고 있는 37보리분법 가운데 두 번째는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 sammappadha-na)이다. 그러면 무엇이 네 가지 바른 노력인가? 경은 이렇게 말한다. “비..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8.29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 ③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 ③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마음챙김 없이는 닦을 수 없다” 이제 마음챙기는 공부의 요점 몇 가지를 살펴보자. 첫째, 무엇보다도 개념적 존재(施設, pan~n~atti)의 해체가 중요하다. 이것이 <대념처경>(D22)이나 <마음챙김의 확립 상윳따>(S47) 등에서 마음챙김의 대상을..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8.29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불교TV 강의 자료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 해체해서 보기 2008년 11월 6일부터 매주 목/금/토 방영 강의: 각묵 스님(초기불전연구원 지도법사) 강의 주제: 제1강: 왜 초기불교와 해체해서 보기인가 제2강: 초기불교의 기본주제: 행복1 제3강: 초기불교의 기본주제: 행복2(궁극적 행복) 제4강: 초기불교의 ..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