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란 무엇인가 ⑤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苦滅道聖諦) 진리란 무엇인가 ⑤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苦滅道聖諦) “열반은 팔정도 실천으로 실현”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가운데 마지막은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 닦음의 성스러운 진리요, 이것은 우리에게 ‘도성제’ 즉 도 닦음의 성스러운 진리로 잘 알려졌다. 지난 호에서 세 번째 진리인 괴로움..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6.16
진리란 무엇인가 ④ -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苦滅聖諦) 진리란 무엇인가 ④ -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苦滅聖諦) “출가자는 열반을 바르게 실현” 열반은 탐.진.치…의미가 멸진되어야 드러나는 것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가운데 세 번째는 괴로움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 즉 고멸성제다. 지난 호에서 두 번째 진리인 괴로움 일어남(원인)의 진리를 살..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6.10
진리란 무엇인가 ③ -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苦集聖諦) 진리란 무엇인가 ③ -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苦集聖諦) 지난 호에서는 첫 번째 성스러운 진리인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를 살펴보았는데 그것의 내용은 사고팔고(四苦八苦)와 괴로움의 세 가지 성질(三苦性)이었다. 그러면 괴로움은 아무 원인도 없이 그냥 일어나는 것인가? 아니..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6.09
진리란 무엇인가 ②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 진리란 무엇인가 ②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 존재의 괴로움에 사무쳐야 ‘해탈’ 불교는 괴로움 해결된 경지 열반 실현을 너무나도 중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 가운데 첫 번째는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이다. 불교는 무위법인 열반을 제외한 모든 것(유위법)을 괴로움이라고..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5.09
진리란 무엇인가 ① 진리란 무엇인가 ① -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사성제 바로 알아야 번뇌 멸진” 모두 괴로움이라는 현실 바탕 가장 성스럽고 고귀한 가르침 세상의 모든 철학과 사상과 종교는 진리를 표방한다. 불교도 당연히 진리를 표방한다. 불교에서 진리는 넷이라고 강조하는데 이것을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5.09
여섯 단계의 가르침 여섯 단계의 가르침 해체해서 봐야 해탈 열반 실현 지난 호까지 오온과 12처와 18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온은 ‘나’를 물질, 느낌, 인식, 심리현상들, 알음알이 즉 색.수.상.행.식의 다섯으로 해체해서 설하신 것이요, 12처는 ‘세상’을 눈.귀.코.혀.몸.마음과 형색.소리.냄새.맛.감촉.법의 12가지로 ..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4.30
세상이란 무엇인가 ③ 18가지 요소(十八界) 세상이란 무엇인가 ③ 18가지 요소(十八界) “마음은 찰나적 흐름일 뿐” 감각기능과 대상 맞부딪혀 일어나는 조건발생…‘연기’ 지난 호 등에서 살펴본 12가지 감각장소(處)는 존재하는 모든 것(諸法)을 눈과 귀 등의 6가지 감각기능(根) 즉 안의 감각장소(육내처)와 형색과 소리 등의 6가지 대상(境) ..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4.20
세상이란 무엇인가 ② - 12처가 곧 일체 세상이란 무엇인가 ② - 12처가 곧 일체 뭉쳐두고 보며 속을 것인가 ‘일체’라는 개념에 속지 말고 ‘12처’로 해체해 봐야 깨달아 이제 12처 혹은 육처의 가르침의 중요성을 살펴보자. 무엇보다 먼저 12처는 존재하는 모든 것 즉 일체(一切)에 대한 부처님의 명쾌한 대답이라는 점을 들어야 한다. 12처..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4.14
세상이란 무엇인가 ① 열두 가지 감각장소(12처) 세상이란 무엇인가 ① 열두 가지 감각장소(12처) 안팎 12감각이 세상의 근본구조 나와 세상 ‘5온.12처’로 보면 무상 고 무아 극명하게 드러나 인간이 가지는 가장 근원적인 의문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나의 문제와 ‘세상이란 무엇인가’라는 세상의 문제일 것이다. 그러므로 삼계대도사이신 부처..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4.04
나는 누구인가 ⑦ 오온은 동시발생 나는 누구인가 ⑦ 오온은 동시발생 “마음의 절대화 버려야 열반 실현” 지난 호까지 물질, 느낌, 인식, 심리현상들, 알음알이의 다섯 가지 무더기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살펴보았다. 오온을 순서에 따라 개별적으로 살펴보았다고 해서 오온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오온은 동..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