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다섯째 날, 아침 법문 다섯째 날, 아침 법문 과거의 원인으로 현재가 있고, 현재의 원인으로 미래가 있습니다. 그래서 좋지 못한 미래가 없으려면 현재의 원인을 행하지 않아야 합니다. (좋은 미래를 갖기 위해서는 현재 좋은 선업의 원인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행하게 되는 첫째 원인은 갈애입니다. 그래서 가장 큰 원인.. 經典/위빠사나 2008.04.02
6. 넷째 날, 아침 법문 넷째 날, 아침 법문 위빠싸나 수행에서 마음을 알아차리는 방법에 대하여 계속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사념처 수행을 할 때 처음에는 코나 배에 마음을 두고 들숨과 날숨을 알아차리며 집중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코의 들숨과 날숨을 알아차릴 때, '들이쉬면서 알고', '내쉬면서 알고', 다시 '들이쉬면.. 經典/위빠사나 2008.04.02
5. 셋째 날, 아침 법문 셋째 날, 아침 법문 마음을 알아차리는 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우리가 마음을 알아차리는데 있어서 밖에서 들어오는 대상 5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안에서 일어나는 대상이 6가지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상(恒常) 하는 대상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밖[外]에서 들어오는 마음은 다섯 가지입.. 經典/위빠사나 2008.04.02
4. 둘째 날, 법문 우 소바나 사야도 12연기 법문 둘째 날, 법문 어제 법문을 했던 견해의 청정[見淸淨]에 대해서 간단하게 부연 설명을 한 후에 12연기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어제 법문에서 오온(五蘊)은 오온일 뿐이지 '나'가 없지만, '나'가 있다고 믿는 것이 유신견(有身見. sakkaaya-di.t.thi)이라는 것에 대해서 설명 .. 經典/위빠사나 2008.04.02
3. 첫째 날, 수행을 시작하면서 우 소바나 사야도의 법문 (U Sobhana Sayadaw Dhamma talk) 첫째 날, 수행을 시작하면서 (1) 수행자가 가져야 할 5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첫째, 수행자는 믿음을 가지고 수행에 임해야 합니다. 믿음이란 부처님과, 부처님의 법, 성인의 대열에 들으신 스님들에 대한 믿음입니다. 불법승 삼보에 대한 믿음이 없으면.. 經典/위빠사나 2008.04.02
2. 12연기(緣起)의 부분. 연결. 요소. 시간의 분류표 12연기(緣起)의 부분. 연결. 요소. 시간의 분류표 (참고 : 빨리어 표기는 인터넷용이라서 실제의 단어와 다를 수가 있습니다.) 1. 근본원인 --- 2가지 -- *(1) 무명(無明. Avijjaa) *(2) 갈애(渴愛. Ta.nhaa) 2. 성제(聖諦. Sacca) - 2가지 -- (1) 집제(集諦. Samudaya-sacca) (2) 고제(苦諦. Dukkha-sacca) 3. 부분 ------ 4가지 --- (1) 과.. 經典/위빠사나 2008.04.02
1. 우 소바나 사야도 12연기 법문 우 소바나 사야도 12연기 법문 (12연기에 대한 위빠사나 집중수련회 중의 법문) 우 소바나 사야도 12연기 법문을 연재하며 (U Sobhana Sayadaw dhamma talk) 2003년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10일간 천안 호두마을에서 우 소바나 사야도의 12연기에 대한 위빠싸나 집중 수련회가 열렸습니다. 이때 사야도께서 말씀하신 .. 經典/위빠사나 2008.04.02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 6 Δ 51. 대승은 아비담마의 토양위에 핀 꽃이다 2 그러나 아비담마에 대한 정확하고 깊은 이해 없이 대승적 직관에만 의존하다 보면 뿌리 없는 나무를 가꾸려는 시도로 빠질 수 있고 더욱이 그런 것을 더 주장하다보면 비불교적이되고 그래서 힌두적인 발상으로 빠져들게 된다는 점입니다. 사실 후대로 .. 經典/아비담마 2008.04.02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 5 Δ 41. 마음과 인식기관을 떠난 물질의 존재는 의미가 없다 문: 그리고 보통으로 봐서 물질이라 할 수 없는 암시와 동작과 특징도 물질의 영역에 포함시키는데 무슨 특별한 이유라도 있습니까? 답: 잘 보셨습니다. 이것이 아비담마에서 설하는 물질과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물질이 다른 점입니다. 이것.. 經典/아비담마 2008.04.02
아비담마 왕초보 입문 / 4 Δ 31. 마음은 대상없이 일어나지 못한다. 문: 스님, 그럼 이 외에도 마음에 관한 중요한 측면을 더 말씀해주실 것이 있는지요. 답: 있습니다. 아비담마 전체를 통틀어서 제일 중요한 측면이라 여겨지기도 한데요. 아비담마에서는 물론 초기경에서도 그렇고요, 마음(알음알이)은 대상이 없이는 결코 일.. 經典/아비담마 2008.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