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지론 제 11 권 [313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1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4) 삼마희다지(三摩 多地) ① 이미 유심유사(有尋有伺) 등의 세 가지에 대해서 설하였다. 무엇을 삼마희다지(三摩 多地)라고 하는가?1) 올타남(嗢拕南)으로 말하리라. 총표(總標)와 안립(安立)과 작의(作意)와 ..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0 권 [274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0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3) 유심유사 등 3지 ⑦ 욕애(欲愛)란 무엇인가? 욕계(欲界)의 제 행(行)을 연(緣)으로 하여 생기는 것이며, 욕계에서 염오(染汚)의 희구(希求)를 행하여 이것에 의하여 능히 욕계의 고(苦)의 과(果)를 생기게 하는 것을 말한..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9 권 [240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9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3) 유심유사 등 3지 ⑥ 다음에 업(業)의 문(門)이란 무엇인가?1) 여기에 간략히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여과문(與果門)이요, 둘째는 손익문(損益門)이다. 여과문(與果門)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첫째는..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8 권 [212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8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3) 유심유사 등 3지 ⑤ 다음에1) 무엇을 잡염(雜染)을 시설(施設)하여 건립(建立)하는 것이라고 하는가? 말하자면 세 가지의 잡염(雜染)에 의함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무엇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번뇌(煩惱)의 잡염(雜染)이..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7 권 [187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7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3) 유심유사 등 3지 ④ 숙작인론(宿作因論)1)이란 마치 어떤 사문(沙門)이나 바라문(婆羅門)이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견해[見]을 일으키고 다음과 같은 이론[論]을 세우는 것과 같으니, 자세한 설명은 경(經)의 내용과 같다. '..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6 권 [158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6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3) 유심유사 등 3지 ③ 다음에1) 무엇을 불여리작의(不如理作意)의 시설건립(施設建立)이라 하는가? 올타남(嗢拕南)으로 말한다. 인(因)에 과(果)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과 드러남[顯了]와 가고 옴[去來]이 있음..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5 권 [128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5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3) 유심유사 등 3지 ② 다음에 색계(色界)의 초정려지(初靜慮地)에서 생(生)을 받는 여러 천(天)들은, 즉 그 지(地)의 이생희락(離生喜樂)1)을 받고, 제 2정려지(靜慮地)의 여러 천(天)들은 정생희락(定生喜樂)2)을 받고, 제 3정..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4 권 [105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4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3) 유심유사(有尋有伺等三地) ① 이미 의지(意地)에 대해서 설하였다.1) 무엇을2) 유심유사지(有尋有伺地)3)라고 하며, 무엇을 무심유사지(無尋唯伺地)라고 하며, 무엇을 무심무사지(無尋無伺地)라고 하는가? 종합적으로 올..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3 권 [71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3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2) 의지 ③ 다음에1) 곧 앞에서 설명된 자성(自性) 내지 업(業) 등의 5사(事)2)는 그 밖의 가유법(假有法)을 제외하고는3), 즉 색취(色聚) 심심소품(心心所品)4) 무위(無爲)에 의하기 때문에 모두 3처(處)에 포함되는 것임을 마땅..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2 권 [35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2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2) 의지 ② 다음에 이 일체종자식(一切種子識)은 반열반법자(般涅槃法者)1)의 경우에는 일체종자(一切種子)를 모두 다 구족(具足)하지만, 반열반법자(般涅槃法者)가 아닐 경우에는 곧 세 가지 보리종자[三種菩提種子)2)를 ..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