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지론 제 21 권 [715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21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10) 성문지(聲聞地) ① (1) 초유가처(初瑜伽處) 종성지(種姓地) 위와 같이1) 수소성지(修所成地)를 설하였다. 무엇을2) 성문지(聲聞地)라고 하는가? 일체의 성문지(聲聞地)를 총괄하여 올타남(嗢拕南)으로 말하..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20 권 [673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20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9) 수소성지(修所成地) ① 이미 사소성지(思所成地)를 설하였다. 무엇을 수소성지(修所成地)1)라고 하는가? 말하자면 간략하게 4처(處)에 의해서 두루 수소성지(修所成地)를 포괄하는 줄 알아야만 한다. 무엇 등이 4처(處)..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9 권 [632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9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8) 사소성지 ④ 현성(賢聖)은 항상 맨 처음[最]으로 착한 말[善語]을 설하고 애이면서 애 아닌 것도 아닌 말[愛非不愛語]을 두 번째로 하며 제이면서 제 아닌 것도 아닌 말[諦非不諦語]을 세 번째로 하며 법(法)이면서도 법 ..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8 권 [591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8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8) 사소성지 ③ 누가 승류(勝類)의 생(生)을 돕고[·] 그리고 출리(出離)의 도(道)를 엽니까. 어디에 머무르고 무엇을 배워야 후세(後世)의 죽음[死]을 두려워하지 않습니까. 誰·勝類生 及開出離道 於何住何學 不懼..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7 권 [559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7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8) 사소성지 ② '부지런한 정진(精進)에 나아가면서 항상 견고(堅固)하고 용맹(勇猛)하면서 항상 불방일(不放逸)을 닦고 5지(支)를 잘 안주하게 해야 한다'라는 이 게송은 피갑(被甲) 방편(方便) 물러나지 않음[無退]의 정진..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6 권 [507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6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8) 사소성지(思所成地) ① 이미 문소성지(聞所成地)를 설하였다. 무엇을 사소성지(思所成地)1)라고 하는가? 간략하게 세 가지의 상(相)에 의하여 설명됨을 알아야만 하니, 첫째는 자성청정(自性淸淨)에 의하기 때문이며, ..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5 권 [470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5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7) 문소성지 ③ 이미 일곱 가지 불교소응지처(佛敎所應知處)에 대해서 설하였다. 다음으로 여덟 가지1)에 대해서 설하겠다. 8지성도(支聖道)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필추(苾芻)들로 하여금 끝내[究竟] 결(結)을 끊게 하는 세..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4 권 [431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4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7) 문소성지 ② 2종(種)의 불교소응지처(佛敎所應知處)에 대하여 설하였다. 다음에1) 10상(相)을 3문(門) 3종(種) 및 3근(根)에 의거하여 제 유정(有情)에 대하여 악행(惡行)을 일으키고[發起] 유정(有情)을 제 악취(惡趣)에 떨..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3 권 [389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3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4) 삼마희다지 ③ 다음에1) 세존께서 말씀하셨듯이 "너희들 필추(苾芻)들은 마땅히 공한처[空閑]를 좋아하며 관행(觀行)을 수습(修習)하고 내심(內心)으로 정사마타(正奢摩他)에 안주(安住)해야 한다"란 능히 와구(臥具)에 ..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
유가사지론 제 12 권 [353 / 829] 쪽 유가사지론 제 12 권 미륵보살 지음 삼장법사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4) 삼마희다지 ② 다음에1) 무엇을 소연(所緣)의 제 상(相)의 작의(作意)를 수습(修習)한다고 하는가? 곧 이런 저런[彼彼]2) 제 상(相)에 대하여 작의(作意)하고 사유(思惟)하는 것을 말한다. 사유하기 때문에 능히 4사(事)를 .. 經典/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200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