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귀조사설 “누가 더 훌륭한지 중요하지 않아” 명주 굴산사의 범일국사는 진성대왕이 하문하신 선과 교의 뜻에 대하여 이같이 말씀하셨다. “우리의 본사이신 석가모니께서는 태어나신 이후에 설법으로 일관하셨습니다. 먼저 태어나자마자 동서남북으로 7보씩 걷고나서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 말했습니..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선교차별론 “선.교학 제기능 완수 해야” 무염국사가 법성선사에게 물었다. “교와 선은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법성선사가 답변하였다. “만조백관은 모두 자기의 직무를 수행하고, 제왕은 용상에서 팔짱을 끼고 아무런 말도 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백성은 모두 태평성대를 구가하는 것이다.” 무염국사는..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무설토론 “교학 바탕에 禪 우수성 드러내” 묻는다 : 유설(有舌)과 무설(無舌)이란 무슨 뜻입니까. 답하다 : 앙산혜적은 “유설은 불토(佛土)를 말한 것이다. 때문에 이것은 응기문(應機門)이다. 무설은 선을 말한 것이다. 때문에 정전문(正傳門)이다”고 말했다. 묻는다 : 응기문이란 무엇입니까. 답한다 : 선지..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조사선풍의 특징 “일상성을 진리로 간주” 묻는다 : 선경은 소승의 경전으로 조사문중의 도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 〈능가경〉은 성종(性宗)의 법으로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합니다. ‘이 경전은 달마대사가 전한 것으로 심지법문을 의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임종 때 분부하였다.’ 과연 이것이 사실입..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선과 교의 차별 2 “수행은 ‘마음 작용’ 잊는 것” 묻는다 : 돈교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일체법은 마음이 반연하는 모습(心緣相)을 벗어나 있고 망념의 주체와 망념의 객체까지도 벗어나 있다. 그래서 오직 여여한 공덕뿐이므로 그 도리에 들어가는 주체도 없고 또한 청정한 해탈마저도 없다.’ 그런데 무슨 ..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선과 교의 차별 1 “수행시작과 깨침종착은 인과” 어설픈 깨침이 올바른 규범의 기틀이 되었고 잘못된 전승이 역대조사의 모범이 되었다. 그래서 혹 돈점의 문으로 정통 법맥을 삼았는가 하면 또 원돈의 가르침으로 종지를 삼기도 하였다. 이런 입장에서 성품 자체는 언설로 표현할 수 없고 본체의 모습은 본래부터 ..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선의 입장 불법 핵심 뽑아 근원 설명 어떤 사람이 대주선사에게 물었다. “저는 율사와 법사와 선사 가운데 누가 가장 훌륭한 자인지 모르겠습니다.” 대주선사가 말했다. “말하자면 율사는 계율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려주고 출가자의 수명에 대한 유훈을 전승해준다. 그리하여 계율을 유지하는 것과 ..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선의 종류 “최상승선은 마음으로 전승” 참된 성품은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아 범부에게나 성인에게 있어 조금의 차이도 없다. 그러나 선정을 분류하자면 깊고 고 옅음이 있어 단계에 차별이 있다. 말하자면 선의 본질에서 벗어난 잘못된 마음으로 천상세계는 좋아하고 천하세계는 싫어하여 닦는 선정..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전법의 정통 “진실로 청정한 삼매” ‘숨음과 드러남의 법’ 부촉하니 미혹깨침 같지도 다르지도 않아 평하여 말한다. 당나라의 신청불희 선사는 그 저술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의 전법은 현성들 가운데서 저 가섭 등과 같이 성문에게로 전해졌다. 그들은 회심은 했지만 지혜가 모자란데, 그러니 어찌 불..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
달마와 교외별전 “여래의 정법안장 계승” 우월성 강조하는 대승선법 기치 ‘앎과 실천의 일치’는 달마 선풍 “달마가 양현지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합니다. ‘불심의 종지 곧 불심종을 깨치는 데에는 눈꼽만치도 잘못이 없이 앎과 실천이 상응해야 합니다. 그것을 일컬어 조사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찌해..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