解 題 解 題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Ⅰ. 원효의 생애(生涯) ① 출생(出生) 신라에 불교가 공식적으로 전래된 지 1 백여 년 만에 나타난 우리나라 역사상 최대의 불교 사상가이자 사회지도자였던 원효는 신라 20대 진평왕 39년(A.D.617)에 현재의 경북 자인 면에 해당하는, 당시 압량군(押梁郡) 불..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5.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Encouragement of Practice and the Benefits T 5.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Encouragement of Practice and the Benefits Thereof 이미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을 말하였으니, 다음에는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을 말하겠다. 이와 같이 대승의 제불(諸佛)의 비장(秘藏)을 내가 이미 모두 말하였으니, 만일 어떤 중생이 여래의 매우 깊은 경계에 대하여 바른 믿음을 내.. 經典/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008.03.22
4.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On Faith and Practice 4.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On Faith and Practice 이미 해석분을 말하였으니, 다음에는 수행신심분을 말하겠다. 이 중에 아직 정정취(正定聚)에 들어가지 못한 중생에 의거하기 때문에 신심을 수행함을 말하는 것이다. 已說解釋分,次說修行信心分。是中依未入正定眾生,故說修行信心。 Having already.. 經典/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008.03.22
3. 해석분(解釋分) Interpretation 3. 해석분(解釋分) Interpretation 이미 입의분(立義分)을 설명하였으니 다음에는 해석분(解釋分)을 설명하겠다. 해석분에 세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셋인가? 첫째는 현시정의(顯示正義)요, 둘째는 대치사집(對治邪執)이며, 셋째는 분별발취도상(分別發趣道相)이다. 已說立義分,次說解釋分。解釋分有三種.. 經典/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008.03.22
2. 입의분(立義分) Outline 2. 입의분(立義分) Outline 이미 인연분(因緣分)을 말하였으니, 다음에는 입의분(立義分)을 말할 것이다. 대승이란 총괄하여 설명하면 두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법(法)이요, 둘째는 의(義)이다. 법이라고 하는 것은 중생심(衆生心)을 말함이니 이 마음이 곧 일체의 세간법(世間法)과 .. 經典/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008.03.22
1. 인연분(因緣分) The Reasons for Writing 1. 인연분(因緣分) The Reasons for Writing 처음은 인연분을 설하다. 묻기를, “어떤 인연이 있어 이 논을 지었는가?” 대답하기를, “이 인연에 여덟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여덟 가지인가? 첫째는 인연의 총상(總相)이니, 이른바 중생으로 하여금 모든 고통을 여의고 궁극적인 즐거움을 얻게 하기 위함이지, .. 經典/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008.03.22
大乘起信論 / 馬鳴菩薩 大乘起信論 馬鳴菩薩 造 梁真諦三藏 譯 THE AWAKENING OF FAITH Attributed to Asvaghosha (Translated by Yoshito S. Hakeda) Copyright 1967 Columbia University Press 우리말 역 - 은정희 /일러두기/ 1. 우리말․漢․英 순으로 엮었습니다. 2. 상업적으로 쓸 수 없는 문건입니다. Ⅰ. 종체(宗體)를 나타냄 Ⅱ. 제명(題名).. 經典/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008.03.22
불설장아함경 제22권 [716 / 740] 쪽 불설장아함경 제22권 후진 홍시 연간에 불타야사ㆍ축불념 한역 [제4분] ⑤ 30. 세기경 ⑤ 11) 삼중겁품(三中劫品)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3중겁(中劫)이 있다. 어떤 것이 셋인가? 첫째는 도병겁(刀兵劫)이고, 둘째는 곡귀겁(穀貴劫)이며, 셋째는 질역겁(疾疫劫)이다. 어떤 것을 .. 經典/장아함경(長阿含經) 2008.01.26
불설장아함경 제21권 [686 / 740] 쪽 불설장아함경 제21권 후진 홍시 연간에 불타야사ㆍ축불념 한역 [제4분] ④ 30. 세기경 ④ 9) 삼재품(三災品)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네 가지 일[事]이 있다. 장구(長久)하기 한량없고 무한하여 일월과 세수(歲數)로써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어떤 것이 네 가지인가? 첫째 세간의.. 經典/장아함경(長阿含經) 2008.01.26
불설장아함경 제20권 [652 / 740] 쪽 불설장아함경 제20권 후진 홍시 연간에 불타야사ㆍ축불념 한역 [제4분] ③ 30. 세기경 ③ 6) 아수륜품(阿須倫品)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수미산(須彌山) 북쪽의 큰 바다 밑에 라하(羅呵) 아수륜성이 있는데, 그 성의 가로와 세로는 각각 8만 유순이다. 그 성은 일곱 겹으로 되어 .. 經典/장아함경(長阿含經) 200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