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 정법(淨法) 훈습 ㄴ) 정법(淨法) 훈습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어떻게 훈습하여 정법을 일으켜 단절시키지 않는가? 이른바 진여법이 있기 때문이니, 이 진여가 무명을 훈습하는 것이며 훈습하는 인연의 힘에 의하여 곧 망심(妄心)으로 하여금 생사(生死)의 고통을 싫어하고 열반(涅槃)을 구하기..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ㄱ) 염법(染法) 훈습 ㄱ) 염법(染法) 훈습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어떻게 훈습하여 염법을 일으켜 단절되지 않는가? 이른바 진여법에 의하기 때문에 무명이 있고, 무명염법의 인(因)이 있기 때문에 곧 진여를 훈습하며, 훈습하기 때문에 곧 망심이 있게 된다. 망심이 있어서 곧 무명을 훈습하여 진여..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나. 훈습론(薰習論) 나. 훈습론(薰習論)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다시 네 가지 법의 훈습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염법과 정법이 일어나 단절하지 않는 것이니, 어떤 것이 네 가지인가? 첫째는 정법이니 진여라 이름하며, 둘째는 일체의 염인(染因)이니 무명이라 이름하며, 셋째는 망심(妄心)이니 업식..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ㄷ) 생멸상(生滅相) ㄷ) 생멸상(生滅相)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다시 생멸상을 분별한다는 것은 두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추(?)니 마음과 더불어 상응하기 때문이고, 둘째는 세(細)니 마음과 더불어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추 중의 추는 범부의 경계요, 추 중의 세와 세 중..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ㄴ) 생멸인연(生滅因緣) ㄴ) 생멸인연(生滅因緣)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다음 생멸인연이라는 것은, 이른바 중생이 마음에 의하여 의와 의식이 전변하기 때문이다. 〔復次生滅因緣者. 所謂衆生依心, 意, 意識轉故.〕 【소】 처음 가운데에 ‘인연’이라고 말한 것은 아라야식의 심체가 모든 법을 변작..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ㆍ 불각의(不覺義) ㆍ 불각의(不覺義)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論)】 불각의 뜻이라고 말한 것은, 진여법이 하나임을 여실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불각의 마음이 일어나서 그 망념이 있게 된 것을 이른 것이다. 그러나 망념은 자상(自相)이 없어서 본각을 여의지 않았으니, 마치 방향을 잃은 사람이 방..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ㆍ 각의(覺義) ㆍ 각의(覺義)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論)】 각의 뜻이라고 하는 것은 심체(心體)가 망념을 여읜 것을 말함이니, 망념을 여읜 상(相)이란 허공계(虛空界)와 같아서 두루 하지 않는 바가 없어 법계일상(法界一相)이며 바로 여래의 평등한 법신이니, 이 법신에 의하여 본각(本覺)이라..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가. 널리 풀이함 / ㄱ) 심생멸(心生滅) ㄱ) 심생멸(心生滅)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論)】 심생멸이란 여래장에 의하므로 생멸심이 있는 것이니, 이른바 불생불멸(不生不滅)이 생명과 더불어 화합하여, 같은 것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닌 것을 이용하여 아라야식(阿黎耶識)이라고 하는 것이다. 〔心生滅者, 依如來藏故有..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b. 생멸문(生滅門) b. 생멸문(生滅門)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소(疏)】 △이 아래는 두 번째 생멸문을 풀이한 것이니, 이 중에 두 가지가 있다. 처음은 바로 널리 풀이 한 것이며, ‘다시 네 가지 훈습이 있다’ 아래는 말에 의하여 거듭 나타내는 것이다. 처음 중에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위의 입의..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a. 진여문(眞如門) a. 진여문(眞如門)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論)】 심진여(심진여)란 바로 일법계(일법계) 중의 대총상(대총상) 법문(法門)인 체(體)이니, 이른바 심성이 생기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지만 일체의 모든 법이 오직 망념(妄念)에 의하여 차별이 있으니, 만약 망념을 여의면 일체의 경계상(..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