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해행발심(解行發心) ② 해행발심(解行發心)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해행발심(解行發心)이란 더욱 수승한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니, 왜냐하면 이 보살은 처음 정신(正信)으로부터 제일 아승기겁이 다 차려고 할 때이므로 진여법에 대한 깊은 이해가 앞에 나타나 닦는 것이 상을 여의기 때문이다. 법..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①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①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이란 어떤 사람에 의하여 어떤 행실을 닦아서 믿음이 성취되어 발심을 할 수 있는 것인가? 이른바 부정취중생에 의하여 훈습의 힘과 선근의 힘이 있으므로 업의 과보를 믿고 십선을 일으키며, 생사의 ..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3) 도(道)에 발심하여 나아가는 모양을 분별함 (3) 도(道)에 발심하여 나아가는 모양을 분별함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분별발취상(分別發趣道相)이란 모든 여러 부처가 증득한 도에 모든 보살이 발심(發心), 수행(修行)하여 나아가는 뜻을 말하기 때문이다. 〔分別發趣道相者. 謂一切諸佛所證之道, 一切菩薩發心修行趣向義..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② 법아견(法我見) ② 법아견(法我見)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법아견(法我見) 이란 이승의 둔근(鈍根)에 의하기 때문에 여래가 다만 그들을 위하여 인무아(人無我)만을 설하였으며, 이 설함이 구경하지 않기 때문에 오음생멸(五陰生滅)의 법이 있음을 보고 생사를 두려워하여 망령되이 열반을 취..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① 인아견(人我見) ① 인아견(人我見)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인아견(人我見)이란 모든 범부에 의하여 말해지는 것으로 다섯 가지가 있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경에서 ‘여래법신이 필경 적막하여 허공과 같다’고 하는 말을 듣고, 이것이 집착을 깨뜨리기 위한 것인 줄 모르기 때문에 ..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2) 사집(邪執)을 대치함 (2) 사집(邪執)을 대치함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사집(邪執)을 대치한다는 것은 일체의 사집이 모두 아견에 의하는 것이니, 만약 나를 여의면 곧 사집이 없는 것이다. 이 아견(我見)에 두 가지가 있다. 〔對治邪執者. 一切邪執皆依我見. 若離於也, 則無邪執. 是我見有二種〕 【소..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② 진여문(眞如門)에 들어감 ② 진여문(眞如門)에 들어감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다음은 생멸문으로부터 곧 진여문에 들어가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른바 오음(五陰)의 색과 심을 추구해 보건대, 육진경계가 필경 생각할 만한 모양이 없으며, 또한 마음에는 형상이 없어서 시방으로 찾아보아도 끝내 얻을 ..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b. 용대(用大) b. 용대(用大)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또한 진여의 용이란 이른바 모든 부처와 여래가 본래 인지(因地)에서 대자비를 일으켜 모든 바라밀을 닦아서 중생을 섭화하며, 크나큰 서원을 세워 일체의 중생계를 모두 도탈시키고자 하여 겁의 수를 한정하지 않고 미래에까지 다하는 것..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a. 체상(體相) 이대(二大) a. 체상(體相) 이대(二大)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또한 진여의 자체상(自體相)이란 일체의 범부ㆍ성문ㆍ연각ㆍ보살 ㆍ제불(諸佛)에게 증감됨이 없으며 앞에서 나는 것도 아니요, 뒤에서 멸하는 것도 아니어서, 필경에 늘 변함이 없어서 본래부터 성품이 스스로 일체의 공덕을 ..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B. 의장문(義章門)을 해석함 B. 의장문(義章門)을 해석함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 이 아래는 두 번째 의장문을 해석하는 것이다. 위의 입의분 중에서 두 가지 뜻을 세웠으니, 이른바 대의(大義)와 및 승의(承義)이다. 이제 이글 중에서는 바로 대의를 해석하고 겸해서 승의를 나타내었다. 이 중에 두 가지가 있으..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