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먼저 뜻을 풀이함 / A. 법장문(法章門)을 해석함 A. 법장문(法章門)을 해석함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論)】 현시정의(顯示正義). 일심법(一心法)에 의하여 두 가지 문(門)이 있으니, 무엇이 둘인가? 첫째는 심진여문(心眞如門)이요, 둘째는 심생멸문(心生滅門)이니, 이 두 가지 문이 모두 각각 일체의 법을 총괄하고 있다. 이 뜻이 ..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1) 정의(正義)를 현시(顯示)함 (1) 정의(正義)를 현시(顯示)함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소(疏)】 장을 여는 중에 현시정의라고 한 것은 바로 입의분 중에서 세운 것을 해석하는 것이며, 대치사집과 분별발취도상이란 사악한 것을 떠나 바른 데에 나아가는 문을 밝힌 것이다. 〔開章中, 言顯示正義者, 正釋立義分中所..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3. 해석분(解釋分) 3. 해석분(解釋分)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이미 立義分을 설명하였으니 다음에는 解釋分을 설명하겠다. 해석분에 세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顯示正義요, 둘째는 對治邪執이며, 셋째는 分別發趣道相이다. 〔已說立義分. 次說解釋分. 解釋分有三種. 云何爲三..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2. 입의분(立義分) 2. 입의분(立義分)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이미 인연분(因緣分)을 말하였으니, 다음에는 입의분을 말한 것이다. 대승이란 총괄하여 설명하면 두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두 가지인가? 첫째는 법(法)이요, 둘째는 의(義)이다. 법이라고 하는 것은 중생심(衆生心)을 말함이니 이 마..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1. 인연분(因緣分) 1. 인연분(因緣分)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논】 설명함에 다섯 가지 구분이 있으니,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첫째는 인연분(因緣分)이요, 둘째는 입의분(立義分)이요, 셋째는 해석분(解釋分)이요, 넷째는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이요, 다섯째는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이다. 〔說有五..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二. 논(論)의 체(體)를 정립함 二. 논(論)의 체(體)를 정립함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소】 △ 이 아래는 제 이의 논체(論體)를 바로 세우는 것이다. 글에 세 부분이 있다. 첫째는 전체적으로 표시하여 설명하기를 허락하는 것이요, 둘째는 수를 들어 장(章)을 여는 것이요, 셋째는 장에 의하여 따로 풀이하는 것이니,..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一. 귀경(歸敬)과 술의(述意) 一. 귀경(歸敬)과 술의(述意)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 처음 세 줄의 게송 가운데에는 두 가지의 뜻이 있으니, 앞의 두 게송은 바로 삼보(三寶)에 귀경하는 것이요, 뒤의 한 게송은 기신론을 지은 뜻을 서술하는 것이다. 〔△ 弟三消文. 文有三分. 初三行偈, 歸敬述意. 論曰以下, 正立論..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Ⅲ. 글에 따라 뜻을 나타냄 Ⅲ. 글에 따라 뜻을 나타냄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소(疏)】 △제 삼은 글을 해석함이니, 글에 세 부분이 있다. 처음 세 줄의 게송은 삼보(三寶)에 귀경(歸敬)하는 것과 논을 지은 뜻을 서술하는 것이고, ‘논왈(論曰)’이하는 논의 체를 바르게 세운 것이고, 맨 나중의 게송은 총결하..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Ⅱ. 제명(題名)을 해석함 Ⅱ. 제명(題名)을 해석함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소(疏)】 다음은 제명(題名)을 해석한 것이다. 대승이라고 말한 것은, 대(大)는 법에 해당하는 이름이니 널리 감싸는 것으로 뜻을 삼고, 승(乘)은 비유에 붙인 이름이니 운반하는 것으로 공을 삼는다. 총설은 그러하나 그 중에 분별한..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
Ⅰ. 종체(宗體)를 나타냄 Ⅰ. 종체(宗體)를 나타냄 은정희 역주/일지사/자료입력:도규희 【소(疏)】 이 기신론을 해석하려함에 대략 세 가지 문이 있으니, 처음은 종체(宗體)1) 를 나타냈고, 다음은 제명(題名)을 해석했으며, 세 번째는 글에 따라 뜻을 나타내었다. 〔將釋此論, 略有三門, 初標宗體, 此釋題名, 其第三者依文顯.. 經典/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08.03.24